마인크래프트/청크 문서 원본 보기 ← 마인크래프트/청크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청크'''(Chunk)는 [[마인크래프트]] 월드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 16×16 블록의 수평 면적을 가진 수직 기둥 형태의 공간이다. 마인크래프트는 무한에 가까운 월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이러한 청크 시스템을 사용하며, 플레이어 주변의 청크만 메모리에 로드하여 게임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청크는 단순히 블록을 담는 그릇이 아니라, 마인크래프트의 거의 모든 게임 메커니즘이 작동하는 기본 단위다. 몹 스포닝, 작물 성장, 레드스톤 작동 등 대부분의 게임 요소는 청크가 로드되어 있을 때만 작동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청크에 대한 이해는 효율적인 팜 설계나 서버 최적화에 필수적이다. == 구조 == === 차원과 크기 === 하나의 청크는 가로와 세로가 각각 16블록인 정사각형 영역을 차지한다. 수직으로는 월드의 최저 높이부터 최고 높이까지 전체를 포함하는데, 이는 마인크래프트 버전에 따라 달라져 왔다. 1.17 이전에는 Y좌표 0부터 255까지였지만, 1.18 업데이트에서 -64부터 319까지로 확장되어 총 384블록의 높이를 가지게 되었다. 청크는 다시 16개의 섹션으로 나뉘며, 각 섹션은 16×16×16 블록의 정육면체다. 이러한 섹션 단위의 구분은 렌더링과 데이터 저장을 효율적으로 만든다. 예를 들어, 완전히 공기로만 채워진 섹션은 저장 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으며, 렌더링 시에도 건너뛸 수 있다. === 청크 좌표 === 청크의 위치는 청크 좌표로 표현되며, 이는 블록 좌표를 16으로 나눈 몫이다. 예를 들어, 블록 좌표 (64, 100)은 청크 좌표 (4, 6)에 속한다. 음수 좌표의 경우 약간의 주의가 필요한데, 블록 좌표 (-1, -1)은 청크 좌표 (-1, -1)에 속한다. F3 디버그 화면에서 현재 위치의 청크 좌표를 확인할 수 있다. == 청크 로딩 == === 로드 범위 === 플레이어 주변의 청크들은 자동으로 로드되며, 이 범위는 서버나 클라이언트의 렌더 거리 설정에 따라 결정된다. 싱글플레이어에서는 비디오 설정의 렌더 거리가, 멀티플레이어에서는 서버 설정과 클라이언트 설정 중 작은 값이 적용된다. 로드된 청크는 단순히 보이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로 게임 로직이 작동하는 공간이다. 이 범위 내에서만 몹이 스폰되고, 작물이 자라며, 레드스톤 회로가 작동한다. 다만 모든 청크가 동일한 수준으로 처리되는 것은 아니며, 플레이어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처리 수준이 달라진다. === 티킹 영역 === 1.14 업데이트 이후로는 청크 로딩 시스템이 더욱 세분화되었다. 플레이어 주변의 청크는 여러 단계로 나뉘어 처리되는데, 가장 가까운 영역은 엔티티 처리와 블록 업데이트가 모두 일어나는 "엔티티 티킹" 영역이고, 그 다음은 블록 업데이트만 일어나는 "지연 티킹" 영역, 마지막으로 단순히 로드만 되어 있는 "경계" 영역으로 구분된다. === 청크 로더 === 바닐라 마인크래프트에서도 특정 조건 하에 청크를 강제로 로드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네더 포탈로, 오버월드와 네더를 오가는 엔티티가 있을 때 양쪽 차원의 포탈 주변 청크를 일시적으로 로드한다. 또한 티켓 시스템을 통해 특정 이유로 청크가 로드 상태를 유지하기도 한다. 많은 기술계 플레이어들은 이러한 메커니즘을 이용해 "청크 로더"를 만든다. 예를 들어, 호퍼가 연결된 드롭된 아이템은 해당 청크를 잠시 동안 로드 상태로 유지시키는데, 이를 연쇄적으로 배치하여 원거리의 팜을 계속 작동시킬 수 있다. == 청크 생성 == === 월드 생성 과정 === 새로운 청크가 생성될 때는 복잡한 과정을 거친다. 먼저 노이즈 함수를 사용해 기본 지형이 생성되고, 이어서 동굴과 협곡 같은 지형 특성이 조각된다. 그 다음 광물이 배치되고, 구조물이 생성되며, 마지막으로 식생과 장식 요소들이 추가된다. 이 과정은 상당한 연산을 필요로 하므로, 많은 플레이어가 동시에 새로운 지역을 탐험하면 서버에 부담을 줄 수 있다. 이 때문에 많은 서버에서는 월드 경계를 설정하거나, 사전에 청크를 생성해두는 "프리제너레이션"을 수행한다. === 청크 경계 === 청크의 경계는 게임플레이에 여러 영향을 미친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조명 버그로, 청크 경계에서 빛이 제대로 전파되지 않아 어두운 선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레드스톤 신호도 청크 경계를 넘어갈 때 특별한 처리가 필요하며, 잘못 설계하면 신호가 끊기거나 지연될 수 있다. 몹 스포닝도 청크 단위로 일어나므로, 효율적인 몹 팜을 만들려면 청크 경계를 고려해야 한다. 특히 슬라임 청크처럼 특정 청크에서만 스폰되는 몹의 경우, 정확한 청크 경계 파악이 필수적이다. == 특수한 청크 == === 스폰 청크 === 월드 스폰 지점 주변의 청크들은 특별한 속성을 가진다. 이들은 플레이어의 위치와 관계없이 항상 로드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정확히는 스폰 지점을 중심으로 한 19×19 청크가 이에 해당한다. 다만 이 중에서도 중앙의 11×11 청크만이 엔티티 처리가 일어나는 "활성" 상태를 유지한다. 스폰 청크의 이러한 특성은 양날의 검이다. 항상 작동하는 팜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잘못 설계하면 서버 성능에 지속적인 부담을 줄 수 있다. 많은 서버에서는 이 때문에 스폰 청크의 레드스톤 사용을 제한하기도 한다. === 슬라임 청크 === 전체 청크의 약 10분의 1은 "슬라임 청크"로 지정되어 있다. Y=40 이하의 슬라임 청크에서는 밝기와 관계없이 슬라임이 스폰될 수 있다. 어떤 청크가 슬라임 청크인지는 월드 시드와 청크 좌표에 의해 결정되며, 한 번 정해지면 변하지 않는다. 슬라임 청크를 찾는 것은 슬라임볼을 얻기 위한 중요한 과정이다. 게임 내에서는 지하를 파며 슬라임이 스폰되는지 확인하는 방법밖에 없지만, 외부 도구를 사용하면 시드를 입력해 슬라임 청크의 위치를 미리 알 수 있다. == 청크 파일 형식 == === Region 파일 === 마인크래프트는 청크 데이터를 Region 파일 형식으로 저장한다. 하나의 Region 파일(.mca)은 32×32개의 청크, 즉 512×512 블록 영역의 데이터를 담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개별 청크마다 파일을 만드는 것보다 훨씬 효율적이며, 파일 시스템의 부담을 크게 줄인다. Region 파일 내부에서 각 청크는 압축된 NBT 형식으로 저장된다. 청크가 수정될 때마다 전체 Region 파일을 다시 쓸 필요 없이, 해당 청크 부분만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타임스탬프 정보를 포함하여 각 청크가 마지막으로 수정된 시간을 추적한다. === Anvil 형식 === 현재 사용되는 Anvil 형식은 이전의 MCRegion 형식을 개선한 것으로, 더 효율적인 압축과 무제한 높이를 지원한다. 각 청크는 섹션별로 저장되며, 빈 섹션은 저장하지 않아 파일 크기를 줄인다. 또한 블록 ID를 12비트로 확장하여 더 많은 종류의 블록을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 청크 관련 명령어 == 마인크래프트는 청크를 다루는 여러 명령어를 제공한다. `/forceload` 명령어를 사용하면 특정 청크를 강제로 로드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는 명령 블록을 사용한 장치나 중요한 팜이 항상 작동하도록 보장하는 데 유용하다. <pre> /forceload add ~ ~ ~16 ~16 </pre> 이 명령어는 현재 위치에서 동쪽과 남쪽으로 16블록까지의 영역(대략 2×2 청크)을 강제 로드한다. 다만 너무 많은 청크를 강제 로드하면 성능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최적화와 문제 해결 == 청크 관련 문제는 마인크래프트에서 흔히 발생한다. "청크 에러"라고 불리는 현상은 특정 청크가 제대로 로드되지 않아 구멍이 뚫린 것처럼 보이는 것인데, 대부분 해당 지역을 다시 방문하거나 F3+A를 눌러 청크를 다시 로드하면 해결된다. 서버 운영자들은 청크 관련 최적화에 특히 신경을 써야 한다. View-distance 설정을 적절히 조정하고, 불필요한 청크 로딩을 막으며, 청크 생성이 집중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Paper나 Spigot 같은 서버 소프트웨어는 청크 로딩과 언로딩을 최적화하는 추가 옵션을 제공한다. [[분류:마인크래프트]] 마인크래프트/청크 문서로 돌아갑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