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CAG 문서 원본 보기 ← WCAG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Web Content Accessibility Guidelines, '''WCAG''')은 [[W3C|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의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WAI)에서 제정한 웹 접근성 국제 표준이다. 장애인을 포함한 모든 사용자가 웹 콘텐츠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권고안을 제공한다. WCAG는 시각, 청각, 신체, 언어, 인지, 학습, 신경학적 장애를 가진 사용자들이 웹을 사용하는 데 겪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 지침은 웹 콘텐츠를 더 접근 가능하게 만들기 위한 원칙, 지침, 성공 기준을 제공하며, 각 성공 기준에 대한 충족 방법과 이해를 돕는 문서를 함께 제공한다. 2008년 12월 11일 WCAG 2.0이 W3C 권고안으로 발표되었으며, 2018년 6월 5일에는 WCAG 2.1이, 2023년 10월 5일에는 WCAG 2.2가 발표되었다. 현재 WCAG 3.0이 개발 중이다. == 역사 == === WCAG 1.0 === 1999년 5월 5일 발표된 최초의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이다. 14개의 지침과 65개의 검사 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HTML과 CSS에 중점을 두었다. 기술 의존적인 특성으로 인해 새로운 웹 기술에 적용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 WCAG 2.0 === 2008년 12월 11일 발표되었다. 기술 중립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하여 현재와 미래의 웹 기술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4개의 원칙, 12개의 지침, 61개의 성공 기준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개선사항: * 기술 중립적 접근 * 테스트 가능한 성공 기준 * 3단계 적합성 수준(A, AA, AAA) * 충분한 기법과 참고 기법 제공 === WCAG 2.1 === 2018년 6월 5일 발표되었다. WCAG 2.0의 모든 내용을 포함하며, 모바일 접근성, 저시력 사용자, 인지 및 학습 장애를 가진 사용자를 위한 17개의 새로운 성공 기준이 추가되었다. 새로운 성공 기준의 주요 영역: * 모바일 기기 사용성 * 저시력 사용자 지원 * 인지 및 학습 장애 지원 === WCAG 2.2 === 2023년 10월 5일 발표되었다. WCAG 2.1의 모든 내용을 포함하며, 9개의 새로운 성공 기준이 추가되고 하나의 기준(4.1.1 파싱)이 제거되었다. 인지 장애인과 모바일 사용자를 위한 개선사항이 주를 이룬다. == 구조 == === 4대 원칙 === WCAG는 다음 4가지 원칙을 기반으로 한다: # '''인식의 용이성'''(Perceivable): 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 '''운용의 용이성'''(Operable):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와 탐색은 운용 가능해야 한다. # '''이해의 용이성'''(Understandable): 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운용은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 '''견고성'''(Robust): 콘텐츠는 보조 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사용자 에이전트가 해석할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해야 한다. === 지침 === 각 원칙 아래에는 총 13개의 지침이 있다: ==== 인식의 용이성 ==== * 지침 1.1: 대체 텍스트 * 지침 1.2: 시간 기반 미디어 * 지침 1.3: 적응 가능 * 지침 1.4: 구별 가능 ==== 운용의 용이성 ==== * 지침 2.1: 키보드 접근 가능 * 지침 2.2: 충분한 시간 * 지침 2.3: 발작 및 신체적 반응 * 지침 2.4: 탐색 가능 * 지침 2.5: 입력 방법 ==== 이해의 용이성 ==== * 지침 3.1: 가독성 * 지침 3.2: 예측 가능 * 지침 3.3: 입력 지원 ==== 견고성 ==== * 지침 4.1: 호환성 === 성공 기준 === 각 지침은 테스트 가능한 성공 기준을 포함한다. WCAG 2.2 기준으로 총 86개의 성공 기준이 있으며, 각 기준은 A, AA, AAA 세 가지 수준 중 하나로 분류된다. === 적합성 수준 === * '''수준 A''': 최소한의 접근성 수준. 모든 수준 A 성공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 '''수준 AA''':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접근성 수준. 모든 수준 A와 AA 성공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 '''수준 AAA''': 최고 수준의 접근성. 모든 수준 A, AA, AAA 성공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일부 콘텐츠의 경우 모든 AAA 기준을 만족하는 것이 불가능할 수 있어, 일반적으로 전체 웹사이트에 대해 요구되지 않는다. == 주요 성공 기준 == === 수준 A 주요 기준 === * '''1.1.1 대체 텍스트''': 모든 비텍스트 콘텐츠에 대체 텍스트를 제공한다. * '''1.3.1 정보와 관계''': 화면에 전달되는 정보, 구조, 관계가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결정되거나 텍스트로 이용 가능해야 한다. * '''2.1.1 키보드''': 모든 기능을 키보드로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 '''2.4.1 블록 건너뛰기''': 여러 웹 페이지에서 반복되는 콘텐츠 블록을 건너뛸 수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 '''3.3.1 오류 식별''': 입력 오류가 자동으로 감지되면, 오류 항목이 식별되고 사용자에게 텍스트로 설명된다. === 수준 AA 주요 기준 === * '''1.4.3 명도 대비 (최소)''': 텍스트와 텍스트 이미지의 시각적 표현은 최소 4.5:1의 명도 대비를 가진다. * '''2.4.6 제목과 레이블''': 제목과 레이블이 주제나 목적을 설명한다. * '''3.1.2 부분의 언어''': 콘텐츠에서 부분적으로 사용된 자연어가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 '''1.4.4 텍스트 크기 조정''': 보조 기술 없이 텍스트를 200%까지 크기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 '''2.4.7 초점 표시''': 키보드로 운용 가능한 모든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초점 표시가 보이는 운용 모드를 가진다. === 수준 AAA 주요 기준 === * '''1.4.6 명도 대비 (향상)''': 텍스트와 텍스트 이미지의 시각적 표현은 최소 7:1의 명도 대비를 가진다. * '''2.2.3 시간 제한 없음''': 시간 제한이 콘텐츠가 제공하는 이벤트나 활동의 필수 부분이 아니며, 시간 제한 없는 대안이 불가능한 경우가 아니라면 시간 제한이 없다. * '''3.3.5 도움말''': 상황에 맞는 도움말을 이용할 수 있다. == 기법 문서 == W3C는 WCAG 성공 기준을 충족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기법 문서를 제공한다: === 충분한 기법 === 성공 기준을 충족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인정되는 기법들이다. 다음과 같은 기술별 기법이 포함된다: * '''일반 기법'''(G): 모든 기술에 적용 가능 * '''HTML 기법'''(H): HTML 및 XHTML * '''CSS 기법'''(C): CSS * '''클라이언트 사이드 스크립트 기법'''(SCR): JavaScript * '''서버 사이드 스크립트 기법'''(SVR) * '''SMIL 기법'''(SM) * '''플레인 텍스트 기법'''(T) * '''ARIA 기법'''(ARIA) * '''Flash 기법'''(FLASH): 현재는 사용 중단 * '''Silverlight 기법'''(SL): 현재는 사용 중단 * '''PDF 기법'''(PDF) === 참고 기법 === 성공 기준을 충족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충분하지 않거나 모든 상황에 적용되지 않는 기법들이다. === 실패 사례 === 성공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게 만드는 일반적인 실수들을 문서화한 것이다. F로 시작하는 번호가 부여된다. == 적용 분야 == === 공공 부문 === 많은 국가에서 공공 웹사이트에 WCAG 준수를 법적으로 의무화하고 있다: * '''대한민국''': 「국가정보화 기본법」,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공기관 웹사이트는 웹 접근성을 준수해야 한다. * '''미국''': Section 508과 ADA(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에 따라 연방 기관 웹사이트는 접근성을 준수해야 한다. * '''유럽연합''': EN 301 549 표준을 통해 공공 부문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의 접근성을 의무화한다. * '''일본''': JIS X 8341 시리즈로 웹 접근성 표준을 제정했다. === 민간 부문 === 많은 기업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 법적 리스크 회피, 시장 확대를 위해 WCAG를 자발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특히 금융, 전자상거래, 교육 분야에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 평가 도구 == === 자동 평가 도구 === * '''WAVE'''(WebAIM): 웹 기반 평가 도구 * '''axe DevTools''':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 '''Pa11y''': 명령줄 인터페이스 도구 * '''Lighthouse''': Google Chrome 개발자 도구 내장 * '''NVDA''': 오픈소스 스크린 리더 * '''JAWS''': 상용 스크린 리더 === 수동 평가 방법 === * 키보드만으로 탐색 * 스크린 리더 사용 * 브라우저 확대/축소 기능 테스트 * 색상 대비 분석기 사용 * 자동 재생 미디어 확인 == WCAG 3.0 (W3C Accessibility Guidelines) == 현재 개발 중인 차세대 접근성 지침이다. 주요 변경사항: * '''새로운 적합성 모델''': A/AA/AAA 수준 대신 Bronze, Silver, Gold 등급 도입 * '''결과 중심 접근''': 기술적 요구사항보다 사용자 요구에 초점 * '''더 많은 장애 유형 포함''': 인지 장애, 학습 장애에 대한 확대된 지원 * '''웹을 넘어선 적용''': 웹 콘텐츠뿐만 아니라 앱, 도구, 웨어러블 기기 등 포함 == 비판과 한계 == * '''복잡성''': 비전문가가 이해하고 적용하기 어려운 기술적 내용 * '''자동 검사의 한계''': 모든 접근성 문제를 자동으로 검출할 수 없음 * '''AAA 수준의 비현실성''': 일부 AAA 기준은 특정 콘텐츠에 적용 불가능 * '''빠른 기술 변화 대응''': 새로운 기술과 상호작용 패턴에 대한 지침 부족 == 관련 표준 == * '''ISO/IEC 40500''': WCAG 2.0의 ISO 표준 버전 * '''ATAG'''(Authoring Tool Accessibility Guidelines): 저작 도구 접근성 지침 * '''UAAG'''(User Agent Accessibility Guidelines): 사용자 에이전트 접근성 지침 * '''ARIA'''(Accessible Rich Internet Applications): 동적 콘텐츠와 복잡한 UI 컨트롤의 접근성 향상 == 같이 보기 == * [[색각 이상]] == 각주 == <references /> == 외부 링크 == * [https://www.w3.org/WAI/WCAG22/quickref/ WCAG 2.2 빠른 참조] * [https://www.w3.org/WAI/WCAG22/Understanding/ WCAG 2.2 이해 문서] * [https://www.w3.org/WAI/WCAG22/Techniques/ WCAG 2.2 기법 문서] * [https://www.w3.org/WAI/test-evaluate/ W3C 접근성 평가 자료] * [https://webaim.org/ WebAIM - 웹 접근성 교육 자료] * [https://a11yproject.com/ The A11Y Project - 접근성 커뮤니티] [[분류:웹 표준]] [[분류:웹 접근성]] WCAG 문서로 돌아갑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