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Jingseum: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4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행정구역''' ==
== 개발·확정계획 ==
=== 행정구역 틀 ===
=== 2025년 성동동 개발 계획 ===
{| class="" style="width:100%;height:auto;text-align:center;"
* 남강변 지형 제작 및 적용
!style="height:38px;background-color:#c7b276;text-align:center;padding:8px 8px;" colspan="2"|[[파일:Namhae-white.png|x24px|link=지산시(플레이시티 블록)]]
* 성동동 동부
|}
** 전랑지: 문화유산. 금입택 형태로 중심 권역만 상상 복원.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width:100%;height:auto;text-align:center;border:2px solid#c7b276;border-top:0px;font-size:13px;margin-top:0px;"
** 망덕사: 문화유산 및 사찰. 주요 가람 및 쌍목탑 복원. 사찰 밖에 한옥 상점가 조성
!style="height:38px;background-color:#fff;padding:8px;font-size:16px;text-align:left;" colspan="61"|[[지산시(플레이시티 블록)|<span style="color:#c7b276;">지산시의 행정구역</span>]]
* 성동동 서부
** 구 지산역사: 문화유산. 옛 철도 시설 일부 조성
** 티디비 호텔
 
=== 미정 ===
* '''전체'''
** 한옥 100채 건립 사업 (문화재급 30채, 민가 60채, 현대한옥 10채)
** 서부 및 도서지역(압해면) 지형 재제작
** 서부시내 도로망 재설계
 
* '''월성 권역'''
** 지형 제작 후 하반기 내 토성 완성
** 신라왕궁의 배치는 연구자료 참고 후 결정
** 해자, 태묘, 첨성대 주변 역사공원 부지 설계
** 교동한옥마을 설계
 
* '''낭산'''
** 지형 제작 후 하반기 내 불러오기
 
* '''대릉원 및 황남동'''
** 지도 보정 작업 완료 후 도로망 고정
** 황남리 고분군 지형 완성 후 불러오기
 
* '''지산영상문화파크'''
** 전체 설계 완성
 
* '''아리울(외주)'''
** 태화궁 완공 (~9월 상순)
** 태원궁 설계 (~9월 상순)
** 환구단 정문 및 석고, 전축삼문 완공 (~9월 하순)
** 태원궁 궁성 권역 완공 (~10월)
** 아라도성 남소문 및 성곽 완공 (~10월)
 
* '''압해면'''
** 도서 지역 1곳 이상 개발
 
* '''충효동'''
** 도로망 제작 및 일반 건축부지 분양
 
* '''아리울(외주)'''
** 상반기 내 아리울 내 수주받은 한옥 완공
*** 궁궐: 태원궁
*** 제례: 종묘, 황궁우
*** 관청: 의정부(미확정)
*** 기타: 가화동 황성식당
** 하반기 내 아리울 내 건축 완공
*** 유성대학교 아리울캠퍼스
*** 아리울 돌담병원
 
== 아이디어 ==
=== 지산 신규 마스터플랜 ===
==== 지산읍성 권역 (행궁동, 종로동) ====
조선시대 지산의 중심 지역. 수원 성내를 기반으로 한 구시가지
 
* Key Image: 수원화성, 수원 행궁동
 
* 화령동: 지산행궁(화성행궁), 지산행궁광장, 지산시립미술관(수원시립미술관), 핼리단길
* 장안동: 지산전통문화관(수원전통문화관), 지산시립도서관(선경도서관)
* 북수동: 화홍문, 벽화마을
* 연무동: 동장대, 지산시립박물관(수원화성박물관), 행궁동 행정복지센터
* 숭인동: 숭인문(창룡문), 성곽길
* 남교동: 성곽길
* 종로1~3가: 여민각, 흥례문(팔달문), 통닭거리, 남문시장
 
==== 시내 중심 권역 (대릉동, 사정동) ====
근대 이후 중심시가지, 상업지구
 
* Key Image: 경주 시내, 대릉원
 
* 노서동: 대릉원(노서동 고분군), 중밀도 주거지구
* 노동동: 대릉원(노동동 고분군), 신라대종, 현 건설구역 최대한 보존할 것
* 사정동: 한옥마을, 경주공고
* 연건동: 고려대학교 인문캠퍼스
* 연지동: 지동시장(수원 지동시장), (도로망 재설계)
* 영동: 영동시장
* 지천동: (도로망 재설계)
* 이화동: 저밀도 주거지구, 낙산 주변 모티브로 한 설계
 
==== 시내 서부 권역 (충효동, 서악동) ====
성밖으로 확장된 시가지. 지산시에서 비교적 최근 개발된 지역 (8~90년대 이후)
 
* Key Image: 대학로, 안암동, 고려대, 경주 충효지구
 
* 효제동: 유성대학교 효암병원(고려대 안암병원), 신축아파트
* 충신동: 유성대학교 이공계캠퍼스(모델 미정, 옛 경기도청 자리), 신축 아파트
* 흥무동: 지산시청(모델 미정), 흥무공원
* 선도동: 중소규모 대학교(모델 미정), 원룸 및 저밀도 주거지구
* 서악동: 서악리 고분군, 신라왕릉 (태종무열왕릉, 진흥왕릉, 진지왕릉, 문성왕릉, 현안왕릉), 서악서원, 도봉서당, 한옥마을
 
==== 시내 외곽 권역 (황남동, 황오동) ====
지산 시내의 경계지역
 
* Key Image: 경주 황남동, 경주 황오동
 
* 황남동: 대릉원(황남동 고분군), 황남동 한옥마을, 황남시장, 쪽샘지구, 재매정, 사마소, 숭문대
* 황오동: 황오리 고분군, 쪽샘지구, 팔우정공원, 남고루,
* 성동동: 옛 지산역, 전랑지, 남강공원, 신문왕릉, 망덕사지
* 흥륜동: 흥륜사지
 
==== 월성 권역 (월성동) ====
역사유적지구 위주의 농촌지역
 
* Key Image: 경주역사유적지구
 
* 교동: 교동한옥마을, 월성(지산)향교, 계림, 월성, 월정교, 천관사지
* 인왕동: 인왕리 고분군, 첨성대, 월성 및 월성해자, 석빙고, 동궁과 월지, 인왕동 사지, 일정교지, 국립지산박물관
* 구황동: 황룡사, 분황사, 구황동 원지, 구황동 서편사지, 미탄사지, 황룡사 역사문화관
 
==== 동부 권역 (아현면, 보은면) ====
교외 농촌지역과 산재한 신라 유적
 
* Key Image: 경주 낭산 및 남산, 강화 정족산, 보은 삼년산성
 
* 아현면 온수리: 삼랑성(강화 삼랑성), 온수리성당
* 아현면 안강리: 남강공원, 황복사지 삼층석탑
* 아현면 보문리: 선덕여왕릉, 보문동사지
* 아현면 배반리: 선덕여왕릉, 사천왕사지, 농경지
* 아현면 내리: 능지탑지, 독서당
* 보은면 삼산리: 삼년산성, 육부전, 경덕사, 나정
* 보은면 오릉리: 지산 오릉
* 보은면 이평리: 보은면 행정복지센터, 지산시 공설운동장, 포석정
* 보은면 임성리: 지산역, 농촌 마을
* 보은면 구로리: 농촌마을, 간척지 농지
* 보은면 효현리: 지산대학교, 법흥왕릉, 농촌마을
 
==== 서부 권역 (예지면, 법성면) ====
원자력 발전소, 교외 산악지역과 산사 및 서원
 
* Key Image: 영광 한빛원전, 법성포
 
* 예지면 가마리: 예지원자력발전소, 어촌, 참성단(강화 참성단)
* 예지면 예지리: 예지원자력발전소 지원시설
* 예지면 성산리: 산지 농촌지역
* 예지면 현곡리: 산지 농촌지역, 서원?(배치 미정)
* 예지면 사동리(社洞里): 시 외곽 농공시설, 파주 혜음원지 또는 양주 회암사지(배치 미정), 지산 사직단
* 예지면 후포리: 예지면 행정복지센터, 소규모 어촌
* 법성면 서곶리: 소규모 어촌, 산사?(법주사 등, 배치 미정)
* 법성면 진내리: 소규모 어촌. 법성진성?(미정), 불교도래공원(백제불교최초도래지)
* 법성면 법성리: 법성면 행정복지센터, 법성포항, 수산시장, 굴비골목
* 법성면 건천리: 산지 농촌 지역
* 법성면 모량리: 지산대학교, 원자력 관련 기관(미정)
* 법성면 금척리: 시 외곽 농공시설
* 법성면 광명리: 시 외곽 농공시설
 
==== 북부 권역 (강경읍) ====
독자적인 정체성을 가진 부도심
 
* Key Image: 논산 강경읍, 보령 충청수영성, 목포시
 
* 강경읍 성내리
* 강경읍 적사리
* 강경읍 용연리
* 강경읍 대양리
* 강경읍 용해리
* 강경읍 용당리
* 강경읍 연수리
* 강경읍 달성리
 
==== 도서 권역 (압해면) ====
낙도 지역 및 해양 문화 지역
 
* Key Image: 신안군, 영광 낙월면 등
 
* 압해면 가거도리
* 압해면 홍도리
 
==== 위치/건설 미정 ====
* '''고려'''
: 강화 고려궁지/강화행궁
: 강화산성
: 파주 혜음원
 
* '''조선'''
: 남한산성 행궁
: 북한산성 행궁
: 경기전
: 조선 왕릉
: 읍성, 향교, 사직단
: 산사: 보은 법주사, 김제 금산사, 합천 해인사, 안동 봉정사, 영주 부석사, 평창 월정사(오대산사고) 등
: 서원: 논선 돈암서원, 안동 병산서원, 경주 옥산서원 등
: 강화 돈대군
 
* '''대한제국 ~ 일제강점기'''
: 강경 시내
: 한옥 성당들: 성공회 강화성당, 강화 온수리성당, 익산 나바위성당, 청주 수동성당
: 북촌한옥마을
 
* '''현대'''
: 평창 국가문헌보존관
: 파주출판도시
: 부여 백제문화단지
 
=== 국도 규정 메모 ===
==== 국도 번호 ====
# 한자리 또는 두자리 번호를 부여한다.
# 남북축(종축)은 홀수, 동서축(횡축)은 짝수 번호를 부여한다.
# 1~19번은 장거리 노선으로 둘 이상의 광역자치단체(청라는 남해도로 본다)를 관통하는 국도에 우선 부여한다.
# 20~99번은 노선의 2/3 이상이 한 광역자치단체의 관할 구역에 속하는 국도에 부여한다. 이때 십의 자리는 각 도의 지역번호로 하고, 일의 자리는 방향과 건설 순서에 맞추어 부여한다.
 
==== 국도 노선의 변경 ====
# 자치단체장은 지자체 관할 구역 내의 국도가 도시개발을 현저히 방해하는 등의 사유가 있으면 국도 노선의 변경을 신청할 수 있다.
# 노선 변경으로 신규로 국도로 지정되는 도로(이하 국도대체도로)는 기존 국도보다 선형 및 기능에 있어서 개량되어야 하며, 사전에 블록 정부의 심사를 받아야 한다.
# 국도대체도로가 완공되기 이전에 기존 국도를 철거하는 행위는 금지한다.
 
== 건설 한옥 목록 ==
* 순번
** 전체 완공일 순서대로 부여한다.
** 복합건물(궁궐, 사찰 등)은 하나의 번호를 부여하고 부속 전각은 부번을 달아 표기한다.
** 건설 중인 건물은 '착공연도-임시순번'으로 표기한다.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letter-spacing:-1px;"
!순번
!명칭
!주소
!착공일
!완공일
!유형
!좌표
!원전
!비고
|-
|1|| 검단재 || 남해 지산시 황남시장길 29 (황남동) || 2019-06-19 || 2019-06-20 || 주거 || || 창작 ||<ref>Jingseum의 첫 한옥</ref>
|-
|2|| 춘양교 || 남해 지산시 남면 교동리 || 2019-08-06 || 2019-08-09 || 교량 ||  || 경주 월정교 ||
|-
|3|| [[동궁과 월지|임해전]] || 남해 지산시 월성동 || 2019-08-09 || 2019-08-28 || 궁궐 || (-2195, 14070) || 경주 동궁과 월지 || <ref name="complex">복합건물</ref>
|-
|4|| [[탑골공원]] 팔각정
|rowspan="3"| 남해 아리울시 운종로 215 (운종5가동) || 2019-08-15 || 2019-08-15 || 공원/누정 || || 서울 탑골공원 팔각정 ||
|-
|5|| [[탑골공원]] 삼일문 ||2019-08-15||2019-08-15|| 공원 || (2215, 9430) || 서울 탑골공원 삼일문 ||
|-
|6|| 원각사지 십층석탑 ||2019-08-15||2019-08-15|| 석탑 || ||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ref>약 3배 비율</ref>
|-
|7
|[[황룡사]]
|남해 지산시 월성동
|2019-08-27
|2019-09-22
|종교/사찰
|(-1289, 13549)
|경주 황룡사
|<ref name="complex"/>
|-
|8
|아리울 국악당
|남해 아리울시 도성구 행인동
|2019-09-15
|2020-08-19
|공연문화
|(-72, 6995)
|창작
|<ref>상량식 기준</ref>
|-
|9|| [[신라대종공원]] 종각 || 남해 지산시 대릉원로 X (노동동) || 2020-12-03 || 2020-12-04 || 공원/종각 || || 경주 신라대종 종각 ||
|-
|10|| (계림로 한옥) || 남해 지산시 계림로 X (노동동) || 2021-03-05 || 2021-03-06 || 상업 || || || <ref>CitiesSkylines의 건축을 리모델링</ref>
|-
| 2021-01 || [[태화궁]]
|rowspan="35"| 남해 아리울시 중구 광희로 67 (경운가동) ||2021-06-06|| 건설중 || 궁궐 || || 덕수궁 || <ref name="complex"/>
|-
|2021-01-1|| 태화궁 대한문 ||2021-09-04||2021-09-04|| 궁궐 || || 덕수궁 대한문 ||
|-
|2021-01-2|| 태화궁 조원문 ||2021-09-04||2021-09-04|| 궁궐 || || 덕수궁 조원문 ||
|-
|2021-01-3|| 태화궁 덕홍전 ||2023-08-13||2023-08-13|| 궁궐 || || 덕수궁 덕홍전 ||
|-
|2021-01-4|| 태화궁 융안문 및 행각 ||2023-08-13||2023-08-14|| 궁궐 || || 덕수궁 융안문 및 행각 ||
|-
|2021-01-5|| 태화궁 중배설청 ||2023-08-14||2023-08-14|| 궁궐 || || 덕수궁 중배설청 ||
|-
|2021-01-6|| 태화궁 이안청 ||2023-08-14||2023-08-14|| 궁궐 || || 덕수궁 이안청 ||
|-
|2021-01-7|| 태화궁 숙옹재 ||2023-07-31||2023-08-15|| 궁궐 || || 덕수궁 숙옹재 ||
|-
|2021-01-8|| 태화궁 소방계 ||2023-07-30||2023-08-15|| 궁궐 || || 창작 || <ref>덕수궁 소방계, 경복궁 초관처소에서 아이디어</ref>
|-
|2021-01-9|| 태화궁 어재실 ||2023-08-16||2023-08-16|| 궁궐 || || 덕수궁 어재실 ||
|-
|2021-01-10|| 태화궁 남여고 ||2023-08-17||2023-08-17|| 궁궐 || || 덕수궁 남여고 ||
|-
|2021-01-11|| 태화궁 광명문 동행각 ||2023-08-17||2023-08-17|| 궁궐 || || 덕수궁 광명문 동행각 ||
|-
|2021-01-12|| 태화궁 광명문 ||2023-08-17||2023-08-17|| 궁궐 || || 덕수궁 광명문 ||
|-
|2021-01-13|| 태화궁 조원문 북행각 ||2023-08-17||2023-08-18|| 궁궐 || || 덕수궁 명칭불명 전각 기반 ||
|-
|2021-01-14|| 태화궁 내반원</br>(태화궁관리소 부속채) ||2023-08-17||2023-08-19|| 궁궐 || || 덕수궁 내반원 기반 ||
|-
|2021-01-15|| 태화궁 숙목문 ||2023-08-19||2023-08-19|| 궁궐 || || 덕수궁 숙목문 ||
|-
|2021-01-16|| 태화궁 돈례문 ||2023-08-19||2023-08-19|| 궁궐 || || 덕수궁 숙목문 ||
|-
|2021-01-17|| 태화궁 장방처소 ||2023-08-19||2023-08-19|| 궁궐 || || 덕수궁 장방처소 ||
|-
|2021-01-18|| 태화궁 공사청</br>(태화궁관리소 사무실) ||2023-08-20||2023-08-20|| 궁궐 || || 창작 ||<ref>덕수궁 공사청 및 장방처소 기반</ref>
|-
|2021-01-19|| 태화궁 중화전 ||2023-08-20||2023-08-22|| 궁궐 || || 덕수궁 중화전 ||
|-
|2021-01-20|| 태화궁 인화문 ||2023-07-13||2023-08-22|| 궁궐 || || 경희궁 흥화문 ||
|-
|2021-01-21|| 태화궁 중화문 ||2023-08-20||2023-08-23|| 궁궐 || || 덕수궁 중화문 ||
|-
|2021-01-22|| 태화궁 중화전 행각 ||2023-08-20||2023-08-24|| 궁궐 || || 덕수궁 중화전 행각 ||
|-
|2021-01-23|| 태화궁 흠문각 ||2023-07-30||2023-09-01|| 궁궐 || || 덕수궁 함유재 기반  ||
|-
|2021-01-24|| 태화궁 건극문 ||2023-09-03||2023-09-03|| 궁궐 || || 덕수궁 건극문  ||
|-
|2021-01-25|| 태화궁 영군번소 ||2023-09-03||2023-09-04|| 궁궐 || || 창덕궁 영군번소 기반  ||
|-
|2021-01-26|| 경운궁 평장문 ||2025-01-13||2025-01-13|| 궁궐 || || 덕수궁 평장문 ||
|-
|2021-01-27|| 태화궁 함녕전 ||2023-09-11||건설 중|| 궁궐 || || 덕수궁 함녕전 ||
|-
|2021-01-28|| 태화궁 함녕전 행각 ||2021-09-04|| 건설 중 || 궁궐 || || 덕수궁 함녕전 행각 ||
|-
|-
!style="width:14%;background:#d0a23f;color:white;font-size:11px;" colspan="1"|읍·면
|2021-01-29|| 태화궁 영복당 || 예정 || 예정 || 궁궐 || || 덕수궁 영복당 기반 ||
!style="background:#d0a23f;color:white;font-size:11px;" colspan="60"|법정리
|-
|-
|style="background:#e6b957;color:white;padding:6px 2px;" |지산읍
|2021-01-30|| 태화궁 즉조당·석어당 행각 ||2023-09-05|| 건설 중 || 궁궐 || || 덕수궁 즉조당·석어당 행각 ||
|style="width:60%;padding:6px 2px;" colspan="60"|(미정)
|-
|-
|style="background:#e6b957;color:white;padding:6px 2px;" rowspan="2"|강경읍
|2021-01-31|| 태화궁 즉조당 || 예정 || 예정 || 궁궐 || || 덕수궁 즉조당 ||
|style="width:12%;padding:6px 2px;" colspan="12"|대저리
|style="width:12%;" colspan="12"|덕암리
|style="width:12%;" colspan="12"|두미리
|style="width:12%;" colspan="12"|문수리
|style="width:12%;" colspan="12"|성남리
|-
|-
|style="width:12%;padding:6px 2px;" colspan="12"|성동리
|2021-01-32|| 태화궁 석어당 || 예정 || 예정 || 궁궐 || || 덕수궁 석어당 ||
|style="width:12%;" colspan="12"|압해리
|style="width:12%;" colspan="12"|욕지리
|style="width:12%;" colspan="12"|읍내리
|style="width:12%;" colspan="12"|추흥리
|-
|-
|style="background:#e6b957;color:white;padding:6px 2px;" |남면
|2021-01-33|| 태화궁 준명당 || 예정 || 예정 || 궁궐 || || 덕수궁 준명당 ||
|style="width:60%;padding:6px 2px;" colspan="60"|(미정)
|-
|-
|style="background:#e6b957;color:white;padding:6px 2px;" |덕포면
|2021-01-34|| 태화궁 덕경당 || 예정 || 예정 || 궁궐 || || 덕수궁 덕경당 ||
|style="width:60%;padding:6px 2px;" colspan="60"|(미정)
|-
|-
|style="background:#e6b957;color:white;padding:6px 2px;" |서면
|2021-01-35|| 태화궁 석어당 부속채 || 예정 || 예정 || 궁궐 || || 창작 ||
|style="width:60%;padding:6px 2px;" colspan="60"|(미정)
|-
|-
|style="background:#e6b957;color:white;padding:6px 2px;" |아현면
|2023-01|| 환구단
|style="width:60%;padding:6px 2px;" colspan="60"|(미정)
|rowspan="3"| 남해 아리울시 중구 ||2023-05-16|| 건설 중 || 제사 || || ||<ref name="complex"/>
|-
|-
|style="background:#e6b957;color:white;padding:6px 2px;" |압해면
|2023-01-1|| 환구단 정문 || 2023-05-17 || 2025-01-15 || 제사 || || 환구단 정문 ||
|style="width:60%;padding:6px 2px;" colspan="60"|(미정)
|-
|-
!style="background:#d0a23f;color:white;font-size:11px;" colspan="1"|행정동
|2023-01-2
!style="background:#d0a23f;color:white;font-size:11px;" colspan="60"|법정동
|환구단 황궁우
|2023-05-16
|건설중
|제사
|(1933, 10091)
|환구단 황궁우
|
|-
|-
|style="background:#e6b957;color:white;padding:6px 2px;" rowspan="1"|월성동
| 2023-02 || [[태원궁]]
|style="width:30%;padding:6px 2px;" colspan="30"|구황동
|rowspan="3"| 남해 아리울시 중구 ||2023-07-03|| 건설 중 || 궁궐 || || 창경궁, 창덕궁 기반 || <ref name="complex"/>
|style="width:30%;padding:6px 2px;" colspan="30"|월성동
|-
|-
|style="background:#e6b957;color:white;padding:6px 2px;" rowspan="1"|행궁동
|2023-02-1|| 태원궁 동·서십자각 ||2023-07-03||2023-07-09|| 궁궐 || || 경복궁 동십자각 ||
|style="width:60%;padding:6px 2px;" colspan="60"|(미정)
|-
|-
|style="background:#e6b957;color:white;padding:6px 2px;"|황남동
|2023-02-2|| 태원궁 홍화문 || 예정 || 예정 || 궁궐 || || 창덕궁 돈화문 ||
|style="padding:6px 2px;" colspan="60"|황남동
|-
|-
!style="background-color:#c7b276;padding:3px 0px 2px;text-align:center;font-size:12px;color:white;" colspan="61"|[[지산시청(플레이시티 블록)|<span style="color:white;">시청소재지 : 지산읍</span>]]
| 2023-03 || 성공회 지산성당 || 남해 지산시 ||2023-12-25|| 건설 중 || 종교/교회 || ||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 <ref name="complex"/>
|-
|-
|}
|}


=== 행정구역 ===
== 한옥 관련 정보 ==
* 행정동 행궁동
=== 궁궐 ===
** 법정동 화령동: 지산행궁 북쪽 반, 이아
=== 관련 문헌 ===
** 법정동 선의동: 지산행궁 남쪽 반
'''궁궐'''
** 법정동 자안동: 지산읍성 북쪽
* [https://lib.seoul.go.kr/search/detail/CATLAZ000000517066 종로구청, 「경희궁지 종합정비계획」. 2013]
** 법정동 정조로1가: 종각 인근
*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19114&bbsId=BBSMSTR_1021&pageIndex=7&pageUnit=10&searchCnd=tc&searchWrd=%EA%B2%BD%EB%B3%B5%EA%B6%81&ctgryLrcls=&ctgryMdcls=&ctgrySmcls=&ntcStartDt=&ntcEndDt=&searchUseYn=Y&mn=NS_03_08_01 문화재청, 「경복궁 동궁지역중건보고서」. 2000]
** 법정동 정조로2가: 정조로1가 남쪽, 성벽 안쪽
** 법정동 정조로3가: 정조로2가 남쪽, 성벽 바깥쪽
** 법정동 연수동: 지산읍성 외부, 선의문-흥례문 사이
** 법정동 숭인동: 숭인문 바깥
** 법정동 의흥동: 지산읍성 내부, 선의문-흥례문 사이


* 사동리(社洞里) -> 사동(社洞): 지산 사직단이 있던 곳
== 블록 건축 탐방 ==
* 명륜동(明倫洞): 지산읍성 동쪽. 지산향교 소재지
* 실존 건축물을 재현하거나 모티브로 삼았으며 그 핵심적인 형태가 크게 변하지 않은 건축물만 등재
* 교동(校洞): 월성 서쪽. 월성향교 소재지
* 명칭은 원형이 된 실존 건축물로 작성함


=== 조선시대 행정 ===
=== 한국 건축 ===
* 지산군
==== 고대 건축 ====
** 군내면
* [[황룡사]]: 신라 (6-7세기), [[지산시]]
** 동면
* [[동궁과 월지]]: 통일신라 (7세기). [[지산시]]
** 북면
** 내서면
** 외서면
** 남면


* 월성군
==== 고려 시대 건축 ====
** 군내면
==== 조선 시대 건축 ====
** 남면
* [[태원궁|덕수궁]]: 조선 후기 (1897). [[아리울시]]
** 북면


* 강경도호부
==== 근대 건축 ====
** 군내면->부내면
* [[태원궁|덕수궁 석조전]]: 대한제국 (1897-1910). [[아리울시]]
** 동면
* [[태원궁|덕수궁 석조전 서관]]: 일제강점기 (1938). [[아리울시]]
** 후포면
** 압해면
** 내도면
** 외도면


== '''지산지명사전''' ==
==== 현대 건축 ====
=== ===
* 강경읍
* [[강경읍성]]
* [[국립지산박물관]]: 월성동에 위치한 국립박물관. 지산 지역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지산시의 워프센터이기도 하다.
* 공방거리: 지산읍성 내에 위치한다.


=== ===
=== 서양 건축 사조 ===
* 남강
==== 고대 건축 ====
==== 로마네스크 ====
==== 고딕 양식 ====
==== 바로크 양식 ====
==== 근대 건축 ====
===== 보자르(Beaux-Arts) 양식 =====
* [[하구역|모이니한 트레인 홀]](Moynihan Train Hall), 뉴욕 펜 역, 미국(1914/2011), [[하구시]]


=== ===
==== 모더니즘 건축 (Modern Architecture) ====
* 대릉원
===== 하이테크 건축 (High-tech Architecture) =====
* 대저리
1970년대부터 시작된 후기 모더니즘 건축 사조


=== ㄹ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font-size:9pt;line-height:12pt;border:2px solid #000000;letter-spacing:-0.2px;word-break:keep-all;"
=== ㅁ ===
!style="background-color:#000000;color:white;"|명칭
* 문천: 황남천의 지류.
!style="background-color:#000000;color:white;"|소재지
 
!style="background-color:#000000;color:white;"|건축가
=== ㅂ ===
!style="background-color:#000000;color:white;"|건축 연도
* [[법주사(플레이시티 블록)|법주사]]
!style="background-color:#000000;color:white;"|서버 좌표
* 보문산
!style="background-color:#000000;color:white;"|비고
 
|-
=== ㅅ ===
|무어 하우스 (Moor House)
* 서면: 지산시 서부의 면이다.
|영국 런던
 
|노먼 포스터 (Norman Foster)
=== ㅇ ===
|2005
* 아현: 옛 월성군 지역의 북쪽을 이르는 관습적인 지명. 일반적으로 남강이 서쪽으로 굽어지는 지역 주변을 지칭한다.
|(-1200, 8900)
* 아현면
|임시 배치
* 압해도
|-
* 영산
|}
* 월성<sup>1</sup>: 지산시 월성면에 위치한 신라시대 궁궐 유적.
* 월성<sup>2</sup>: 옛 월성군 지역을 지칭하는 단어. 월성을 중심으로 한 지산시 동남부 지역을 말한다.
* 월성동
* 월정교
* 인왕산
 
=== ㅈ ===
* 적사해변(赤沙海邊): 강경읍에 있는 붉은 모래 해변. 예로부터 강경을 상징하는 명승으로, 강경의 멸칭인 적사(赤沙)의 유래가 되었다.
* 지산<sup>1</sup>: [[지산시(플레이시티 블록)|지산시]]를 지칭하는 말.
* 지산<sup>2</sup>: 옛 지산군 지역을 이르는 말. 지산시 본토의 서부에 해당한다.
* [[지산박물관(플레이시티 블록)|지산박물관]]: 월성동 소재. 지산시에서 운영하는 박물관.
* [[지산읍성]]
* 지산행궁
 
=== ㅊ ===
* 춘양교: 황남천 위에 있는 신라시대의 다리. 현실의 월정교 복원자료를 바탕으로 재현하였다.
 
=== ㅋ ===
=== ㅌ ===
=== ㅍ ===
=== ㅎ ===
* 행궁동
* 황남동
* [[황룡사(플레이시티 블록)|황룡사]]: 월성동에 위치한 천년고찰. 현실의 황룡사지 복원자료를 바탕으로 재현하였다.
* 후포: 지산읍성 북쪽의 해변으로, 과거부터 지산의 외항 역할을 한 포구이다.
 
=== 기타 ===
* JiTEC
 
== '''아이디어''' ==
=== 개발 ===
* 지산시 서부 농경지대 - 아리울 연계
* 남강공원 계획
** 하구 쪽 구간: 철새도래지와 자연습지 형태로 개발
** 중류 쪽 구간: 생태하천 기반으로 수변 산책로와 자전거도로
** 하중도: 기존 계획 활용하여 수목원 섬으로 꾸밈
** 두물머리: 신내 쪽 체육단지와 연계?
** 황남천: 생태하천, 역사지구와의 연계
** 아리울-신내 구간: 미정
* 산업단지 구역 마련해 둘 것
* 백제문화단지 등 고대건축물 활용한 관광지구 추가할 것
 
=== 지명 ===
* '''저수지'''
** 알못/난지(卵池)
** 천년제(千年堤)


=== 위키 ===
==== 포스트모더니즘 ====
* 고속도로 지도 + 노선번호형 링크
* 도별 위치 지도 (서버 내 좌표 -> 지도에 표시)
* 링크형 지산, 아리울 섬 지도 / 행정구역 지도
* 링크형 노선도 (역명 누르면 문서로 이동)
* 링크형 안내도 (궁궐이나 대학 지도에 전각 이름이나 건물 이름 써 두고 누르면 해당 문단으로 이동)


* 테마별 위치 지도
== 잡동사니 ==
** 도청, 시청 모아보기
* '''외래어 표기법 관련 자료'''
** 워프센터 모아보기
**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C%99%B8%EB%9E%98%EC%96%B4_%ED%91%9C%EA%B8%B0%EB%B2%95 외래어 표기법 (위키백과)]
** 기업 본사 및 지사 모아보기
** [https://pyogi.kkeutsori.com/|끝소리: 세계의 말과 글]
** 국립박물관 모아보기
** 이성규·정윤자(2010),「음성실험을 바탕으로 한 몽골어 자음과 단모음의 한글 표기」
** 문화재 모아보기
** 공항 모아보기

2025년 6월 29일 (일) 19:27 기준 최신판

개발·확정계획

2025년 성동동 개발 계획

  • 남강변 지형 제작 및 적용
  • 성동동 동부
    • 전랑지: 문화유산. 금입택 형태로 중심 권역만 상상 복원.
    • 망덕사: 문화유산 및 사찰. 주요 가람 및 쌍목탑 복원. 사찰 밖에 한옥 상점가 조성
  • 성동동 서부
    • 구 지산역사: 문화유산. 옛 철도 시설 일부 조성
    • 티디비 호텔

미정

  • 전체
    • 한옥 100채 건립 사업 (문화재급 30채, 민가 60채, 현대한옥 10채)
    • 서부 및 도서지역(압해면) 지형 재제작
    • 서부시내 도로망 재설계
  • 월성 권역
    • 지형 제작 후 하반기 내 토성 완성
    • 신라왕궁의 배치는 연구자료 참고 후 결정
    • 해자, 태묘, 첨성대 주변 역사공원 부지 설계
    • 교동한옥마을 설계
  • 낭산
    • 지형 제작 후 하반기 내 불러오기
  • 대릉원 및 황남동
    • 지도 보정 작업 완료 후 도로망 고정
    • 황남리 고분군 지형 완성 후 불러오기
  • 지산영상문화파크
    • 전체 설계 완성
  • 아리울(외주)
    • 태화궁 완공 (~9월 상순)
    • 태원궁 설계 (~9월 상순)
    • 환구단 정문 및 석고, 전축삼문 완공 (~9월 하순)
    • 태원궁 궁성 권역 완공 (~10월)
    • 아라도성 남소문 및 성곽 완공 (~10월)
  • 압해면
    • 도서 지역 1곳 이상 개발
  • 충효동
    • 도로망 제작 및 일반 건축부지 분양
  • 아리울(외주)
    • 상반기 내 아리울 내 수주받은 한옥 완공
      • 궁궐: 태원궁
      • 제례: 종묘, 황궁우
      • 관청: 의정부(미확정)
      • 기타: 가화동 황성식당
    • 하반기 내 아리울 내 건축 완공
      • 유성대학교 아리울캠퍼스
      • 아리울 돌담병원

아이디어

지산 신규 마스터플랜

지산읍성 권역 (행궁동, 종로동)

조선시대 지산의 중심 지역. 수원 성내를 기반으로 한 구시가지

  • Key Image: 수원화성, 수원 행궁동
  • 화령동: 지산행궁(화성행궁), 지산행궁광장, 지산시립미술관(수원시립미술관), 핼리단길
  • 장안동: 지산전통문화관(수원전통문화관), 지산시립도서관(선경도서관)
  • 북수동: 화홍문, 벽화마을
  • 연무동: 동장대, 지산시립박물관(수원화성박물관), 행궁동 행정복지센터
  • 숭인동: 숭인문(창룡문), 성곽길
  • 남교동: 성곽길
  • 종로1~3가: 여민각, 흥례문(팔달문), 통닭거리, 남문시장

시내 중심 권역 (대릉동, 사정동)

근대 이후 중심시가지, 상업지구

  • Key Image: 경주 시내, 대릉원
  • 노서동: 대릉원(노서동 고분군), 중밀도 주거지구
  • 노동동: 대릉원(노동동 고분군), 신라대종, 현 건설구역 최대한 보존할 것
  • 사정동: 한옥마을, 경주공고
  • 연건동: 고려대학교 인문캠퍼스
  • 연지동: 지동시장(수원 지동시장), (도로망 재설계)
  • 영동: 영동시장
  • 지천동: (도로망 재설계)
  • 이화동: 저밀도 주거지구, 낙산 주변 모티브로 한 설계

시내 서부 권역 (충효동, 서악동)

성밖으로 확장된 시가지. 지산시에서 비교적 최근 개발된 지역 (8~90년대 이후)

  • Key Image: 대학로, 안암동, 고려대, 경주 충효지구
  • 효제동: 유성대학교 효암병원(고려대 안암병원), 신축아파트
  • 충신동: 유성대학교 이공계캠퍼스(모델 미정, 옛 경기도청 자리), 신축 아파트
  • 흥무동: 지산시청(모델 미정), 흥무공원
  • 선도동: 중소규모 대학교(모델 미정), 원룸 및 저밀도 주거지구
  • 서악동: 서악리 고분군, 신라왕릉 (태종무열왕릉, 진흥왕릉, 진지왕릉, 문성왕릉, 현안왕릉), 서악서원, 도봉서당, 한옥마을

시내 외곽 권역 (황남동, 황오동)

지산 시내의 경계지역

  • Key Image: 경주 황남동, 경주 황오동
  • 황남동: 대릉원(황남동 고분군), 황남동 한옥마을, 황남시장, 쪽샘지구, 재매정, 사마소, 숭문대
  • 황오동: 황오리 고분군, 쪽샘지구, 팔우정공원, 남고루,
  • 성동동: 옛 지산역, 전랑지, 남강공원, 신문왕릉, 망덕사지
  • 흥륜동: 흥륜사지

월성 권역 (월성동)

역사유적지구 위주의 농촌지역

  • Key Image: 경주역사유적지구
  • 교동: 교동한옥마을, 월성(지산)향교, 계림, 월성, 월정교, 천관사지
  • 인왕동: 인왕리 고분군, 첨성대, 월성 및 월성해자, 석빙고, 동궁과 월지, 인왕동 사지, 일정교지, 국립지산박물관
  • 구황동: 황룡사, 분황사, 구황동 원지, 구황동 서편사지, 미탄사지, 황룡사 역사문화관

동부 권역 (아현면, 보은면)

교외 농촌지역과 산재한 신라 유적

  • Key Image: 경주 낭산 및 남산, 강화 정족산, 보은 삼년산성
  • 아현면 온수리: 삼랑성(강화 삼랑성), 온수리성당
  • 아현면 안강리: 남강공원, 황복사지 삼층석탑
  • 아현면 보문리: 선덕여왕릉, 보문동사지
  • 아현면 배반리: 선덕여왕릉, 사천왕사지, 농경지
  • 아현면 내리: 능지탑지, 독서당
  • 보은면 삼산리: 삼년산성, 육부전, 경덕사, 나정
  • 보은면 오릉리: 지산 오릉
  • 보은면 이평리: 보은면 행정복지센터, 지산시 공설운동장, 포석정
  • 보은면 임성리: 지산역, 농촌 마을
  • 보은면 구로리: 농촌마을, 간척지 농지
  • 보은면 효현리: 지산대학교, 법흥왕릉, 농촌마을

서부 권역 (예지면, 법성면)

원자력 발전소, 교외 산악지역과 산사 및 서원

  • Key Image: 영광 한빛원전, 법성포
  • 예지면 가마리: 예지원자력발전소, 어촌, 참성단(강화 참성단)
  • 예지면 예지리: 예지원자력발전소 지원시설
  • 예지면 성산리: 산지 농촌지역
  • 예지면 현곡리: 산지 농촌지역, 서원?(배치 미정)
  • 예지면 사동리(社洞里): 시 외곽 농공시설, 파주 혜음원지 또는 양주 회암사지(배치 미정), 지산 사직단
  • 예지면 후포리: 예지면 행정복지센터, 소규모 어촌
  • 법성면 서곶리: 소규모 어촌, 산사?(법주사 등, 배치 미정)
  • 법성면 진내리: 소규모 어촌. 법성진성?(미정), 불교도래공원(백제불교최초도래지)
  • 법성면 법성리: 법성면 행정복지센터, 법성포항, 수산시장, 굴비골목
  • 법성면 건천리: 산지 농촌 지역
  • 법성면 모량리: 지산대학교, 원자력 관련 기관(미정)
  • 법성면 금척리: 시 외곽 농공시설
  • 법성면 광명리: 시 외곽 농공시설

북부 권역 (강경읍)

독자적인 정체성을 가진 부도심

  • Key Image: 논산 강경읍, 보령 충청수영성, 목포시
  • 강경읍 성내리
  • 강경읍 적사리
  • 강경읍 용연리
  • 강경읍 대양리
  • 강경읍 용해리
  • 강경읍 용당리
  • 강경읍 연수리
  • 강경읍 달성리

도서 권역 (압해면)

낙도 지역 및 해양 문화 지역

  • Key Image: 신안군, 영광 낙월면 등
  • 압해면 가거도리
  • 압해면 홍도리

위치/건설 미정

  • 고려
강화 고려궁지/강화행궁
강화산성
파주 혜음원
  • 조선
남한산성 행궁
북한산성 행궁
경기전
조선 왕릉
읍성, 향교, 사직단
산사: 보은 법주사, 김제 금산사, 합천 해인사, 안동 봉정사, 영주 부석사, 평창 월정사(오대산사고) 등
서원: 논선 돈암서원, 안동 병산서원, 경주 옥산서원 등
강화 돈대군
  • 대한제국 ~ 일제강점기
강경 시내
한옥 성당들: 성공회 강화성당, 강화 온수리성당, 익산 나바위성당, 청주 수동성당
북촌한옥마을
  • 현대
평창 국가문헌보존관
파주출판도시
부여 백제문화단지

국도 규정 메모

국도 번호

  1. 한자리 또는 두자리 번호를 부여한다.
  2. 남북축(종축)은 홀수, 동서축(횡축)은 짝수 번호를 부여한다.
  3. 1~19번은 장거리 노선으로 둘 이상의 광역자치단체(청라는 남해도로 본다)를 관통하는 국도에 우선 부여한다.
  4. 20~99번은 노선의 2/3 이상이 한 광역자치단체의 관할 구역에 속하는 국도에 부여한다. 이때 십의 자리는 각 도의 지역번호로 하고, 일의 자리는 방향과 건설 순서에 맞추어 부여한다.

국도 노선의 변경

  1. 자치단체장은 지자체 관할 구역 내의 국도가 도시개발을 현저히 방해하는 등의 사유가 있으면 국도 노선의 변경을 신청할 수 있다.
  2. 노선 변경으로 신규로 국도로 지정되는 도로(이하 국도대체도로)는 기존 국도보다 선형 및 기능에 있어서 개량되어야 하며, 사전에 블록 정부의 심사를 받아야 한다.
  3. 국도대체도로가 완공되기 이전에 기존 국도를 철거하는 행위는 금지한다.

건설 한옥 목록

  • 순번
    • 전체 완공일 순서대로 부여한다.
    • 복합건물(궁궐, 사찰 등)은 하나의 번호를 부여하고 부속 전각은 부번을 달아 표기한다.
    • 건설 중인 건물은 '착공연도-임시순번'으로 표기한다.
순번 명칭 주소 착공일 완공일 유형 좌표 원전 비고
1 검단재 남해 지산시 황남시장길 29 (황남동) 2019-06-19 2019-06-20 주거 창작 [1]
2 춘양교 남해 지산시 남면 교동리 2019-08-06 2019-08-09 교량 경주 월정교
3 임해전 남해 지산시 월성동 2019-08-09 2019-08-28 궁궐 (-2195, 14070) 경주 동궁과 월지 [2]
4 탑골공원 팔각정 남해 아리울시 운종로 215 (운종5가동) 2019-08-15 2019-08-15 공원/누정 서울 탑골공원 팔각정
5 탑골공원 삼일문 2019-08-15 2019-08-15 공원 (2215, 9430) 서울 탑골공원 삼일문
6 원각사지 십층석탑 2019-08-15 2019-08-15 석탑 서울 원각사지 십층석탑 [3]
7 황룡사 남해 지산시 월성동 2019-08-27 2019-09-22 종교/사찰 (-1289, 13549) 경주 황룡사 [2]
8 아리울 국악당 남해 아리울시 도성구 행인동 2019-09-15 2020-08-19 공연문화 (-72, 6995) 창작 [4]
9 신라대종공원 종각 남해 지산시 대릉원로 X (노동동) 2020-12-03 2020-12-04 공원/종각 경주 신라대종 종각
10 (계림로 한옥) 남해 지산시 계림로 X (노동동) 2021-03-05 2021-03-06 상업 [5]
2021-01 태화궁 남해 아리울시 중구 광희로 67 (경운가동) 2021-06-06 건설중 궁궐 덕수궁 [2]
2021-01-1 태화궁 대한문 2021-09-04 2021-09-04 궁궐 덕수궁 대한문
2021-01-2 태화궁 조원문 2021-09-04 2021-09-04 궁궐 덕수궁 조원문
2021-01-3 태화궁 덕홍전 2023-08-13 2023-08-13 궁궐 덕수궁 덕홍전
2021-01-4 태화궁 융안문 및 행각 2023-08-13 2023-08-14 궁궐 덕수궁 융안문 및 행각
2021-01-5 태화궁 중배설청 2023-08-14 2023-08-14 궁궐 덕수궁 중배설청
2021-01-6 태화궁 이안청 2023-08-14 2023-08-14 궁궐 덕수궁 이안청
2021-01-7 태화궁 숙옹재 2023-07-31 2023-08-15 궁궐 덕수궁 숙옹재
2021-01-8 태화궁 소방계 2023-07-30 2023-08-15 궁궐 창작 [6]
2021-01-9 태화궁 어재실 2023-08-16 2023-08-16 궁궐 덕수궁 어재실
2021-01-10 태화궁 남여고 2023-08-17 2023-08-17 궁궐 덕수궁 남여고
2021-01-11 태화궁 광명문 동행각 2023-08-17 2023-08-17 궁궐 덕수궁 광명문 동행각
2021-01-12 태화궁 광명문 2023-08-17 2023-08-17 궁궐 덕수궁 광명문
2021-01-13 태화궁 조원문 북행각 2023-08-17 2023-08-18 궁궐 덕수궁 명칭불명 전각 기반
2021-01-14 태화궁 내반원
(태화궁관리소 부속채)
2023-08-17 2023-08-19 궁궐 덕수궁 내반원 기반
2021-01-15 태화궁 숙목문 2023-08-19 2023-08-19 궁궐 덕수궁 숙목문
2021-01-16 태화궁 돈례문 2023-08-19 2023-08-19 궁궐 덕수궁 숙목문
2021-01-17 태화궁 장방처소 2023-08-19 2023-08-19 궁궐 덕수궁 장방처소
2021-01-18 태화궁 공사청
(태화궁관리소 사무실)
2023-08-20 2023-08-20 궁궐 창작 [7]
2021-01-19 태화궁 중화전 2023-08-20 2023-08-22 궁궐 덕수궁 중화전
2021-01-20 태화궁 인화문 2023-07-13 2023-08-22 궁궐 경희궁 흥화문
2021-01-21 태화궁 중화문 2023-08-20 2023-08-23 궁궐 덕수궁 중화문
2021-01-22 태화궁 중화전 행각 2023-08-20 2023-08-24 궁궐 덕수궁 중화전 행각
2021-01-23 태화궁 흠문각 2023-07-30 2023-09-01 궁궐 덕수궁 함유재 기반
2021-01-24 태화궁 건극문 2023-09-03 2023-09-03 궁궐 덕수궁 건극문
2021-01-25 태화궁 영군번소 2023-09-03 2023-09-04 궁궐 창덕궁 영군번소 기반
2021-01-26 경운궁 평장문 2025-01-13 2025-01-13 궁궐 덕수궁 평장문
2021-01-27 태화궁 함녕전 2023-09-11 건설 중 궁궐 덕수궁 함녕전
2021-01-28 태화궁 함녕전 행각 2021-09-04 건설 중 궁궐 덕수궁 함녕전 행각
2021-01-29 태화궁 영복당 예정 예정 궁궐 덕수궁 영복당 기반
2021-01-30 태화궁 즉조당·석어당 행각 2023-09-05 건설 중 궁궐 덕수궁 즉조당·석어당 행각
2021-01-31 태화궁 즉조당 예정 예정 궁궐 덕수궁 즉조당
2021-01-32 태화궁 석어당 예정 예정 궁궐 덕수궁 석어당
2021-01-33 태화궁 준명당 예정 예정 궁궐 덕수궁 준명당
2021-01-34 태화궁 덕경당 예정 예정 궁궐 덕수궁 덕경당
2021-01-35 태화궁 석어당 부속채 예정 예정 궁궐 창작
2023-01 환구단 남해 아리울시 중구 2023-05-16 건설 중 제사 [2]
2023-01-1 환구단 정문 2023-05-17 2025-01-15 제사 환구단 정문
2023-01-2 환구단 황궁우 2023-05-16 건설중 제사 (1933, 10091) 환구단 황궁우
2023-02 태원궁 남해 아리울시 중구 2023-07-03 건설 중 궁궐 창경궁, 창덕궁 기반 [2]
2023-02-1 태원궁 동·서십자각 2023-07-03 2023-07-09 궁궐 경복궁 동십자각
2023-02-2 태원궁 홍화문 예정 예정 궁궐 창덕궁 돈화문
2023-03 성공회 지산성당 남해 지산시 2023-12-25 건설 중 종교/교회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2]

한옥 관련 정보

궁궐

관련 문헌

궁궐

블록 건축 탐방

  • 실존 건축물을 재현하거나 모티브로 삼았으며 그 핵심적인 형태가 크게 변하지 않은 건축물만 등재
  • 명칭은 원형이 된 실존 건축물로 작성함

한국 건축

고대 건축

고려 시대 건축

조선 시대 건축

근대 건축

현대 건축

서양 건축 사조

고대 건축

로마네스크

고딕 양식

바로크 양식

근대 건축

보자르(Beaux-Arts) 양식

모더니즘 건축 (Modern Architecture)

하이테크 건축 (High-tech Architecture)

1970년대부터 시작된 후기 모더니즘 건축 사조

명칭 소재지 건축가 건축 연도 서버 좌표 비고
무어 하우스 (Moor House) 영국 런던 노먼 포스터 (Norman Foster) 2005 (-1200, 8900) 임시 배치

포스트모더니즘

잡동사니

  1. Jingseum의 첫 한옥
  2. 2.0 2.1 2.2 2.3 2.4 2.5 복합건물
  3. 약 3배 비율
  4. 상량식 기준
  5. CitiesSkylines의 건축을 리모델링
  6. 덕수궁 소방계, 경복궁 초관처소에서 아이디어
  7. 덕수궁 공사청 및 장방처소 기반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