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0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개요 ==
| | [[사용자:Leerhine|한밭시 및 기타 관련 개발항목에 대해서는 여기로]] |
| | | == HEX 코드 == |
| 대강 이런저런 생각들과 아이디어, 정보들을 모아놓은 곳입니다.
| | === HEX 코드 모음 ===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text-align:center;" |
| == 한밭시 행정업무 ==
| |
| | |
| === 한밭시와 대전광역시가 겹치는 행정동 ===
| |
| | |
| 서구(현실 동구) : 성남동, 홍도동, 중앙동, 삼성동
| |
| | |
| 중구 : 중촌동, 목동, 은행선화동, 대흥동, 오류동, 용두동, 태평동, 유천동
| |
| | |
| 동구(현실 서구) : 만년동, 월평동, 둔산동, 갈마동, 탄방동, 용문동, 가장동, 괴정동, 내동
| |
| | |
| 유성구 : 원신흥동, 온천동, 도룡동
| |
| | |
| 대덕구 : 법동, 중리동, 오정동, 대화동
| |
| | |
| 비고 : 서버 내 산지지형쪽의 행정구역은 포함시키지 않았음
| |
| | |
| === 위를 바탕으로 개편하는 한밭시 행정구역 ===
| |
| | |
| 중구 : 중촌동, 목동, 은행동, 선화동, 대흥동, 오류동, 용두동, 태평동, 유천동
| |
| | |
| 동구(현실 서구 + 유성구) : 만년동, 월평동, 둔산동, 갈마동, 탄방동, 용문동, 가장동, 괴정동, 내동, 원신흥동, 온천동, 도룡동
| |
| | |
| 서구(현실 동구 + 대덕구) : 법동, 중리동, 오정동, 대화동, 성남동, 홍도동, 중앙동, 삼성동
| |
| | |
| 행정구명 미정(서버 내 산지지역) :
| |
| | |
| 총 3개구 + a
| |
| | |
| === 한밭권 광역철도 현황 및 계획 ===
| |
| ==== [[한밭 도시철도 1호선]]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font-size:12px;line-height:18px;" | |
| !구간명칭 !! 위치 !! 길이(m) !! 반경(m) || 최대구배 !! 제한속도 !! 누적거리(m)
| |
| |rowspan="31" style="text-size:10px;line-height:14px;"| 대동역<br>↓<br>()<br>↓<br>대전복합터미널역<br>↓<br>()<br>↓<br>중앙로역<br>↓<br>()<br>↓<br>한밭역<br>↓<br>(849)<br>↓<br>오룡역<br>↓<br>(1443.177)<br>↓<br>용문역<br>↓<br>(851)<br>↓<br>탄방역<br>↓<br>(1014.619)<br>↓<br>시청역<br>↓<br>(880.08)<br>↓<br>해강교통공사역<br>↓<br>()<br>↓<br>갈마역<br>↓<br>()<br>↓<br>월평역<br>↓<br>()<br>↓<br>갑천역<br>↓<br>()<br>↓<br>유성역<br>↓<br>()<br>↓<br>유성시외버스터미널역
| |
| |-
| |
| |대동역플랫폼 || 서구 || 0 || ― || 0‰ || 0km/h || 0
| |
| |- | | |- |
| |101-102구간 || 서구 || 0 || ― || 0‰ || 0km/h || 0 | | |색 |
| | |명칭 |
| | |HEX코드 |
| |- | | |- |
| |대전복합터미널역동단 || 서구 || 0 || ― || 0‰ || 0km/h || 0 | | |style="width:15%;background:#ff8000;"| |
| | |style="width:50%;"|라인 메인 오렌지 |
| | |style="width:35%;"|#ff8000 |
| |- | | |- |
| |대전복합터미널역플랫폼 || 서구 || 0 || ― || 0‰ || 0km/h || 0 | | |style="width:15%;background:#f18200;"| |
| | |style="width:50%;"|라인 에어 오렌지 |
| | |style="width:35%;"|#f18200 |
| |- | | |- |
| |대전복합터미널역동단 || 서구 || 0 || ― || 0‰ || 0km/h || 0 | | |style="width:15%;background:#0c3d86;"| |
| | |style="width:50%;"|라인 블루 |
| | |style="width:35%;"|#0c3d86 |
| |- | | |- |
| |102-103구간 || 서구 || 0 || ― || 0‰ || 0km/h || 0 | | |style="width:15%;background:#4d4d4d;"| |
| | |style="width:50%;"|라인 그레이 |
| | |style="width:35%;"|#4d4d4d |
| |- | | |- |
| |중앙로역플랫폼 || 서구 || 0 || ― || 0‰ || 0km/h || 0 | | |style="width:15%;background:#6462ff;"| |
| | |style="width:50%;"|라인 바이올렛 |
| | |style="width:35%;"|#6462ff |
| |- | | |- |
| |103-104구간 || 서구-중구 || 0 || ― || 0‰ || 0km/h || 0 | | |style="width:15%;background:#bcf5a9;"| |
| | |style="width:50%;"|라인 브라이트그린 |
| | |style="width:35%;"|#bcf5a9 |
| |- | | |- |
| |한밭역서단 || 중구 || 0 || ― || 0‰ || 0km/h || 0 | | |style="width:15%;background:#088a08;"| |
| | |style="width:50%;"|한밭 그린 |
| | |style="width:35%;"|#088a08 |
| |- | | |- |
| |한밭역플랫폼 || 중구 || 135 || ― || 0‰ || 0km/h || 135 | | |style="width:15%;background:#32cd32;"| |
| | |style="width:50%;"|L 그린 |
| | |style="width:35%;"|#32cd32 |
| |- | | |- |
| |한밭역동단 || 중구 || 205 || ― || 0‰ || 0km/h || 340 | | |style="width:15%;background:#ff4400;"| |
| | |style="width:50%;"|H 레드 |
| | |style="width:35%;"|#ff4400 |
| |- | | |- |
| |104-105구간 || 중구 || 509 || ― || 0‰ || 0km/h || 849 | | |style="width:15%;background:#ffcc77;"| |
| | |style="width:50%;"|I 오렌지 |
| | |style="width:35%;"|#ffcc77 |
| |- | | |- |
| |오룡역플랫폼 || 중구 || 135 || ― || 0‰ || 0km/h || 984
| |
| |-
| |
| |오롱역동단 || 중구 || 408 || ― || 0‰ || 0km/h || 1392
| |
| |-
| |
| |성산강하저터널 || 중구-동구 || 275 || ― || 0‰ || 0km/h || 1667
| |
| |-
| |
| |용문동곡선 || 동구 || 625.177 || 398 || 0‰ || 0km/h || 2292.177
| |
| |-
| |
| |용문역플랫폼 || 동구 || 135 || ― || 0‰ || 0km/h || 2427.177
| |
| |-
| |
| |106-107구간 || 동구 || 595 || ― || 0‰ || 0km/h || 3022.177
| |
| |-
| |
| |탄방역남단 || 동구 || 121 || ― || 0‰ || 0km/h || 3143.177
| |
| |-
| |
| |탄방역플랫폼 || 동구 || 135 || ― || 0‰ || 0km/h || 3278.177
| |
| |-
| |
| |탄방역북단 || 동구 || 128 || ― || 0‰ || 0km/h || 3406.177
| |
| |-
| |
| |탄방역북단곡선 || 동구 || 235.619 || 300 || 0‰ || 0km/h || 3641.796
| |
| |-
| |
| |107-108구간 || 동구 || 298 || ― || 0‰ || || 3939.796
| |
| |-
| |
| |시청역남단 || 동구 || 218 || ― || 0‰ || 0km/h || 4157.796
| |
| |-
| |
| |시청역플랫폼 || 동구 || 135 || ― || 0‰ || 0km/h || 4292.796
| |
| |-
| |
| |시청역북단 || 동구 || 218 || ― || 0‰ || 0km/h || 4510.796
| |
| |-
| |
| |108-109구간 || 동구 || 199 || ― || 0‰ || 0km/h || 4709.796
| |
| |-
| |
| |해강교통공사역서단곡선 || 동구 || 157.08 || 200 || 0‰ || 0km/h || 4866.876
| |
| |-
| |
| |해강교통공사역서단 || 동구 || 171 || ― || 0‰ || 0km/h || 5037.876
| |
| |-
| |
| |해강교통공사역플랫폼 || 동구 || 135 || ― || 0‰ || 0km/h || 5172.876
| |
| |} | | |} |
|
| |
|
| 한밭순환선 : 한밭(23개역) {한밭역 - 오룡 - 태평 - 가장레미안 - 내동롯데 - 도솔 - 도안어울림 - 도안천년 - 도안예미지 - 유성온천 - 강변공원 - 해강방송국 - 만년 - 선사유적지 - 교통공사 - 둔산 - 한밭시립과학관남문 - 오정농수산물시장 - 한남대 - 서구청 - 홍도지하차도입구 - 한밭종합터미널 - 중앙로 - 한밭역}
| | == 한밭교통정보 == |
| | === 철도노선 === |
| | === 버스노선 === |
| | ==== 시내버스 ==== |
| | 번호체계는 다음과 같다. |
| | * 1권역 : 온천지구/동명시 기점 |
| | * 2권역 : 상대지구/망원시 기점 |
| | * 3권역 : 가장지구/경천시 기점 |
| | * 4권역 : 중앙지구/하구시 기점 |
| | * 5권역 : 서해/용운/한려지구/퇴계령시 기점 |
| | * 6권역 : 대화지구/여산시 기점 |
| | * 7권역 : 도룡지구/다올시 기점 |
| | * 8권역 : 갈마지구/천형산.한경천계곡 기점 |
| | * 9권역 : 둔산지구 기점 |
| | 예외로 광역버스, 급행버스는 위의 체계에 해당되지 않는다. |
| | |
| | ===== 광역버스 ===== |
| | H로 노선번호가 시작하는 버스들을 일컫는다. 급행버스와 동일하게 빨간색 도색을 사용한다. 차이점으로는 전 차량 19m급 저상굴절버스를 쓰는것이 급행버스와의 차이다. |
| | |
| | ===== 급행버스 ===== |
| | 노선번호가 한자리 숫자인 버스들을 일컫는다. 광역버스와 동일하게 빨간색 도색을 사용한다. 광역버스와는 다르게 전 차량 11m급 저상입석차량이다. |
| | |
| | ===== 간선버스 ===== |
| | 노선번호가 세자리로 되어있으며, 가운데 숫자가 0인 버스들을 일컫는다. 파란색 도색을 사용하며, 11m급 저상입석 및 고상차량이 혼재되어있다. |
|
| |
|
| ==== [[한밭 도시철도 강서선]] ==== | | ===== 지선버스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font-size:12px;line-height:18px;"
| | 노선번호가 세자리로 되어있으며, 가운데 숫자가 0이 아닌 버스들을 일컫는다. 연두색 도색을 사용하며, 수요가 많은 노선은 간선버스와 동일사양의 11m급 차량<ref>이마저도 극히 드물다</ref>이 편성되나, 이외의 노선들에서는 9m급 차량이 들어간다. |
| !구간명칭 !! 위치 !! 길이(m) !! 반경(m) || 최대구배 !! 제한속도 !! 누적거리(m)
| | |
| |rowspan="31" style="text-size:10px;line-height:14px;"| 미정<br>↓<br>()<br>↓<br>여산남부신도시역<br>↓<br>()<br>↓<br>북한밭역<br>↓<br>()<br>↓<br>한밭공단북부역<br>↓<br>()<br>↓<br>오정동농수산물시장역<br>↓<br>()<br>↓<br>서구청(한밭)역<br>↓<br>()<br>↓<br>한밭역<br>↓<br>()<br>↓<br>남한밭시외터미널역
| | ===== 마을버스 ===== |
| |-
| | 노선번호가 구이름+두자리숫자로 되어있는 버스들을 일컫는다. 하늘색 도색을 사용하며, 지선버스보다도 수요가 적은 노선에 들어가며, 노선의 길이가 5km내외인 노선들이 거의 대부분이다. 7m급 차량이 들어간다. |
| |미정플랫폼 || 여산시 || 0 || ― || 0‰ || 0km/h || 0
| | |
| |-
| | ===== 외곽버스 ===== |
| |301-302구간 || 여산시 || 0 || ― || 0‰ || 0km/h || 0
| | 노선번호가 두자리로 되어있는 버스들을 일컫는다. 지선버스와 같은 연두색 도색을 사용하며, 전량 9m급 저상차량이 들어가는것이 특징이다. 버스터미널이나 한밭역을 기점으로 삼으며, 한밭 및 주변도시의 외곽지역까지 운행한다. |
| |-
| | |
| |여산남부신도시역 || 여산시 || 0 || ― || 0‰ || 0km/h || 0
| | ==== 시외버스 ==== |
| |-
| | |
| |여산남부신도시남단구간 || 여산시 || 0 || ― || 0‰ || 0km/h || 0
| | ==== 고속버스 ==== |
| |-
| | |
| |한려철교 || 여산시-한밭중구 || 0 || ― || 0‰ || 0km/h || 0
| | == 아이디어 == |
| |-
| | === 글 작성 === |
| |북한밭역플랫폼 || 중구 || 201 || ― || 0‰ || 0km/h || 0
| | ==== 할만한거 ==== |
| |-
| | ==== 해야되는거 ==== |
| |북한밭역남단구간 || 중구 || 0 || ― || 0‰ || 0km/h || 0
| | === 블록서버에서 할만한거 === |
| |-
| | ==== 교육 ==== |
| |북한밭역남단경사구간 || 중구 || 0 || ― || 0‰ || 0km/h || 0
| | * [[한밭대학교]] |
| |-
| | * 라인의학전문대학교 (관저동 - 건양대 대체) |
| |한밭공단북부북단구간 || 중구 || 0 || ― || 0‰ || 0km/h || 0
| | |
| |-
| | ===== 한밭역 ===== |
| |한밭공단북부역플랫폼 || 중구 || 201 || ― || 0‰ || 0km/h || 0
| | 민자역사가 아닌 오직 기차역의 기본에 충실되게... |
| |-
| | |
| |304-305구간 || 중구 || 0 || ― || 0‰ || 0km/h || 0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
| |
| |오정동농수산물시장역플랫폼 || 중구 || 201 || ― || 0‰ || 0km/h || 0
| |
| |-
| |
| |305-306구간 || 중구 || 0 || ― || 0‰ || 0km/h || 0
| |
| |-
| |
| |서구청(한밭)역플랫폼 || 중구 || 201 || ― || 0‰ || 0km/h || 0
| |
| |-
| |
| |서구청(한밭)역남단구간 || 중구 || 0 || ― || 0‰ || 0km/h || 0
| |
| |-
| |
| |306-307곡선 || 중구 || 0 || || 0‰ || 0km/h || 0
| |
| |-
| |
| |한밭역북단구간 || 중구 || 0 || ― || 0‰ || 0km/h || 0
| |
| |- | |
| |한밭역플랫폼 || 중구 || 201 || ― || 0‰ || 0km/h || 0
| |
| |- | | |- |
| |한밭역남단구간 || 중구 || 0 || ― || 0‰ || 0km/h || 0 | | |colspan="6"|한밭역사구조도 |
| |- | | |- |
| |한밭역남단경사 || 중구 || 0 || ― || 0‰ || 0km/h || 0 | | |'''4F''' |
| | |식당가 |
| | | |
| | |colspan="3"| |
| |- | | |- |
| |한밭역남부지하차도통과구간 || 중구 || 0 || ― || 0‰ || 0km/h || 0 | | |'''3F''' |
| | |colspan="2"|대합실 |
| | |야외공원 |
| | |택시승하차장 |
| | |주차장 |
| |- | | |- |
| |남한밭시외터미널역북단경사 || 중구 || 0 || ― || 0‰ || 0km/h || 0 | | |'''2F''' |
| | |한입당 |
| | |라운지 |
| | |colspan="3"| |
| |- | | |- |
| |남한밭시외터미널역북단구간 || 중구 || 0 || ― || 0‰ || 0km/h || 0 | | |'''1F''' |
| | |colspan="2"|식당가 |
| | |colspan="3"|승강장 |
| |- | | |- |
| |남한밭시외터미널역플랫폼 || 중구 || 201 || ― || 0‰ || 0km/h || 0
| |
| |} | | |} |
|
| |
|
| 강동선 : 다올(2개역), 한밭(5개역) {다올1 - 다올2 - 한밭과학클러스터단지 - 해강방송국 - 교통공사 - 은하수네거리 - 내동롯데}
| | * 서부광장(사람을 위해, 사람을 위한, 사람에 의한광장조성... 오직 사람만을 위한 쾌적한 광장으로) |
| | * 동부광장(서부광장대비 작지만, 선상주차장의 보충역할을 하는 노상주차장 및 택시승강장, 트램관련시설물도 있음) |
| | * 한밭역쌍둥이빌딩(해강교통공사 본사건물) - 기존 해강교통공사위치는 공기업사옥으로 전환 |
|
| |
|
| == 해강도서부 광역도로 계획 == | | ===== 춘일동 스카이로드 ===== |
|
| |
|
| 북부간선도로 : 여산 - 한밭 - (구)진천 - 온주
| | ===== 춘일정 지하상가 ===== |
| | * 한밭역 동부사거리부터 시작해서 중앙로 또는 한려구청역까지 이어지는 한밭시 최대규모의 지하상가로 계획중... |
| | * 춘일동 스카이로드거리하고도 연계 할 예정 |
|
| |
|
| 제2북부간선도로 : 다올 - (구)진천서부 - 한밭
| | ==== 물류 ==== |
| | * 라인로지스틱스 (해강청산지역의 쿠팡!) |
|
| |
|
| 한려산맥지방도 : 퇴계령 - 한밭
| | '''허브터미널''' |
| | * 한밭허브, 신현허브 |
|
| |
|
| == 앞으로의 계획 ==
| | '''서브터미널''' |
| | * 해강여산터미널, 해강함학터미널, 청산은산터미널, 청산오천터미널 |
|
| |
|
| | == 해강서부 및 한밭시 부처 == |
| | === 일단 있는거 === |
| | '''해강서부지방법원''' |
| | * 한밭지청 - 지청장1, 차장1, 형사1부장(인권/금융), 형사2부장(환경/보건), 형사3부장(조세/강력), 형사4부(공직/기업), 여성아동범죄조사부장, 사무국 |
|
| |
|
| == 군대 사지방 전용 북마크 ==
| | '''한밭중앙보건소''' |
|
| |
|
| https://arca.live/b/hk3rd/22748591 (히페리온호 모델링 사방도)
| | * 한밭운전면허시험장 |
|
| |
|
| https://www.bricklink.com/v3/studio/download.page#xlink (브릭링크)
| | === 허가 필요한거 === |
| | '''해강소년원''' |
|
| |
|
| https://lego-digital-designer.softonic.kr/ (LDD 다운링크)
| | '''해강준법지원센터''' |
|
| |
|
| https://studyforus.com/doda/239777 (미디어 위키 사용법)
| | '''해강지방교정청''' |
|
| |
|
| https://timestamp.tistory.com/1?category=1225818 (웹서버 구축법)
| | == 테라금융그룹 == |
| | {{블록정보/법인 |
| | |글자색=white |
| | |대표색상=#3E4970 |
| | | 기업명칭 = 테라금융그룹 |
| | | 기업명칭외국어 = Terra Financial Group |
| | | 기업로고 = |
| | | 정식명칭 = 테라금융지주 |
| | | 영문명칭 = Terra Financial |
| | | 설립일 = |
| | | 본사 = [[해강도]] [[한밭시]] 중구 |
| | | 업종 = 금융지주 |
| | | 소속 = |
| | |소속광역단체={{블록메타/깃발자료|해강도}} [[해강도]] |
| | }} |
|
| |
|
| == 테스팅 ==
| | '''테라금융그룹'''(Terra Financial Group)은 [[플레이시티 블록]]의 금융지주회사이다. 테라금융지주를 지주회사로 산하에 금융 계열사들을 두고 있다. |
|
| |
|
| == 부지 신청 == | | == 상징 == |
| 각 구역마다 표에 나와있는 정보데 따라 건설해야 하며, 건설이 완료되었다 해도 내용 미준수시에 철퇴를 맞을 수 있습니다.
| |
|
| |
|
| 건물의 높이, 층수와 같이 적혀있는 정보에 따라 건축해야합니다.
| | == 연혁 == |
| 세대수는 건축가 자유이나, 건축 완료후에는 세대수 표기를 건축물 정문에 표지판에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 2023년 1월 금산분리법에 의거한 라인그룹에서 금융계열사 분리 및 독립 |
| | * 2023년 5월 라인금융지주 사명 테라금융지주로 변경 |
|
| |
|
| 건물 바닥 두께(층 사이)는 1.5~2칸으로 하며, 옥상설비는 필수입니다만, 너무 잘 할려고 하지 말고, 최선을 다 하는것으로도 됩니다.
| | == 계열사 == |
| | | * 테라생명 (테라카드) |
| == 건축현황 및 건축물대장 == | | * 테라화재 |
| | | * 테라증권 |
| === 동구 ===
| | * 테라벤처투자 |
| ==== 둔산동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text-align:center;font-size:16px;line-height:20px;border:2px solid#088a08;"
| |
| {{!}}style="background:#088a08;color:#fff;"|'''을지병원건축구'''
| |
| |-
| |
| ![[파일:한밭을지병원건축구.PNG]]
| |
| |}
|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width:100%;font-size:11px;border:2px solid#088a08;border-collapse:collapse;background:#fff;"
| | [[[분류:플레이시티 블록의 금융 회사]] |
| !style="background:#088a08;color:#fff;"|부지번호(건물명)
| |
| !style="background:#088a08;color:#fff;"|용도
| |
| !style="background:#088a08;color:#fff;"|높이/층수
| |
| !style="background:#088a08;color:#fff;"|건축가
| |
| !style="background:#088a08;color:#fff;"|세대수
| |
| !style="background:#088a08;color:#fff;"|점유/완공일자
| |
| !style="background:#088a08;color:#fff;"|상태
| |
| |-
| |
| |1||업무(오피스/오피스텔)||60m/15F|| || || ||건설가능
| |
| |-
| |
| |2||업무(오피스/오피스텔)||60m/15F|| || || ||건설가능
| |
| |-
| |
| |3||업무(오피스)||60m/15F|| || || ||건설가능
| |
| |-
| |
| |4||업무(오피스텔)||55m/13F|| || || ||건설가능
| |
| |-
| |
| |5||상업||60m/13F|| || || ||건설가능
| |
| |-
| |
| |6||상업||60m/13F|| || || ||건설가능
| |
| |-
| |
| |7||업무(오피스텔)||55m/13F|| || || ||건설가능
| |
| |-
| |
| |8||업무(오피스/오피스텔)||55m/13F|| || || ||건설가능
| |
| |-
| |
| |9||업무(오피스/오피스텔)||55m/13F|| || || ||건설가능
| |
| |-
| |
| |10||상업||50m/11F|| || || ||건설가능
| |
| |-
| |
| |한밭을지대병원||의료기관||70m/15F||[[사용자:ptilopsis|이라인]]|| ||2020.XX.XX||건축중
| |
| |-
| |
| |라인생명둔산사옥||업무(오피스)|| || || || ||
| |
| |-
| |
| |P||공원|| || || || ||
| |
| |-
| |
| !colspan="7" style="color:#fff;background:#088a08;text-align:right;"|[[한밭시|<span style="color:#fff;">한밭시청</span>]] 도시정보과
| |
| |}
| |
한밭시 및 기타 관련 개발항목에 대해서는 여기로
HEX 코드
HEX 코드 모음
색
|
명칭
|
HEX코드
|
|
라인 메인 오렌지
|
#ff8000
|
|
라인 에어 오렌지
|
#f18200
|
|
라인 블루
|
#0c3d86
|
|
라인 그레이
|
#4d4d4d
|
|
라인 바이올렛
|
#6462ff
|
|
라인 브라이트그린
|
#bcf5a9
|
|
한밭 그린
|
#088a08
|
|
L 그린
|
#32cd32
|
|
H 레드
|
#ff4400
|
|
I 오렌지
|
#ffcc77
|
한밭교통정보
철도노선
버스노선
시내버스
번호체계는 다음과 같다.
- 1권역 : 온천지구/동명시 기점
- 2권역 : 상대지구/망원시 기점
- 3권역 : 가장지구/경천시 기점
- 4권역 : 중앙지구/하구시 기점
- 5권역 : 서해/용운/한려지구/퇴계령시 기점
- 6권역 : 대화지구/여산시 기점
- 7권역 : 도룡지구/다올시 기점
- 8권역 : 갈마지구/천형산.한경천계곡 기점
- 9권역 : 둔산지구 기점
예외로 광역버스, 급행버스는 위의 체계에 해당되지 않는다.
광역버스
H로 노선번호가 시작하는 버스들을 일컫는다. 급행버스와 동일하게 빨간색 도색을 사용한다. 차이점으로는 전 차량 19m급 저상굴절버스를 쓰는것이 급행버스와의 차이다.
급행버스
노선번호가 한자리 숫자인 버스들을 일컫는다. 광역버스와 동일하게 빨간색 도색을 사용한다. 광역버스와는 다르게 전 차량 11m급 저상입석차량이다.
간선버스
노선번호가 세자리로 되어있으며, 가운데 숫자가 0인 버스들을 일컫는다. 파란색 도색을 사용하며, 11m급 저상입석 및 고상차량이 혼재되어있다.
지선버스
노선번호가 세자리로 되어있으며, 가운데 숫자가 0이 아닌 버스들을 일컫는다. 연두색 도색을 사용하며, 수요가 많은 노선은 간선버스와 동일사양의 11m급 차량[1]이 편성되나, 이외의 노선들에서는 9m급 차량이 들어간다.
마을버스
노선번호가 구이름+두자리숫자로 되어있는 버스들을 일컫는다. 하늘색 도색을 사용하며, 지선버스보다도 수요가 적은 노선에 들어가며, 노선의 길이가 5km내외인 노선들이 거의 대부분이다. 7m급 차량이 들어간다.
외곽버스
노선번호가 두자리로 되어있는 버스들을 일컫는다. 지선버스와 같은 연두색 도색을 사용하며, 전량 9m급 저상차량이 들어가는것이 특징이다. 버스터미널이나 한밭역을 기점으로 삼으며, 한밭 및 주변도시의 외곽지역까지 운행한다.
시외버스
고속버스
아이디어
글 작성
할만한거
해야되는거
블록서버에서 할만한거
교육
- 한밭대학교
- 라인의학전문대학교 (관저동 - 건양대 대체)
한밭역
민자역사가 아닌 오직 기차역의 기본에 충실되게...
한밭역사구조도
|
4F
|
식당가
|
|
|
3F
|
대합실
|
야외공원
|
택시승하차장
|
주차장
|
2F
|
한입당
|
라운지
|
|
1F
|
식당가
|
승강장
|
- 서부광장(사람을 위해, 사람을 위한, 사람에 의한광장조성... 오직 사람만을 위한 쾌적한 광장으로)
- 동부광장(서부광장대비 작지만, 선상주차장의 보충역할을 하는 노상주차장 및 택시승강장, 트램관련시설물도 있음)
- 한밭역쌍둥이빌딩(해강교통공사 본사건물) - 기존 해강교통공사위치는 공기업사옥으로 전환
춘일동 스카이로드
춘일정 지하상가
- 한밭역 동부사거리부터 시작해서 중앙로 또는 한려구청역까지 이어지는 한밭시 최대규모의 지하상가로 계획중...
- 춘일동 스카이로드거리하고도 연계 할 예정
물류
허브터미널
서브터미널
- 해강여산터미널, 해강함학터미널, 청산은산터미널, 청산오천터미널
해강서부 및 한밭시 부처
일단 있는거
해강서부지방법원
- 한밭지청 - 지청장1, 차장1, 형사1부장(인권/금융), 형사2부장(환경/보건), 형사3부장(조세/강력), 형사4부(공직/기업), 여성아동범죄조사부장, 사무국
한밭중앙보건소
허가 필요한거
해강소년원
해강준법지원센터
해강지방교정청
테라금융그룹
테라금융그룹(Terra Financial Group)은 플레이시티 블록의 금융지주회사이다. 테라금융지주를 지주회사로 산하에 금융 계열사들을 두고 있다.
상징
연혁
- 2023년 1월 금산분리법에 의거한 라인그룹에서 금융계열사 분리 및 독립
- 2023년 5월 라인금융지주 사명 테라금융지주로 변경
계열사
- 테라생명 (테라카드)
- 테라화재
- 테라증권
- 테라벤처투자
[[[분류:플레이시티 블록의 금융 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