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교통공사 화명선: 두 판 사이의 차이
73번째 줄: | 73번째 줄: | ||
* 광포 => 광포: 존치 | * 광포 => 광포: 존치 | ||
* 채풀대(중앙) => 성광(채풀대): 비산대입구역 삭제로 형평성에 맞게 부역명으로 삽입 | * 채풀대(중앙) => 성광(채풀대): 비산대입구역 삭제로 형평성에 맞게 부역명으로 삽입 및 지명 변경으로 교체 | ||
* 화명시청 => 화명시청: 존치 | * 화명시청 => 화명시청: 존치 | ||
* 남성 => 중앙: 중앙동 소재로 중앙으로 개칭 | * 남성 => 중앙: 중앙동 소재로 중앙으로 개칭 |
2021년 9월 10일 (금) 13:35 판
청산권 전철 노선 | ||||
---|---|---|---|---|
광역철도 | ||||
청악선 | 신청산선 | 블록공항철도 |
도시철도 | ||||
---|---|---|---|---|
화명선 | 동림선 | 미리내선 | 성안 1호선 | 성안 2호선 |
두도선 | 두도순환선 | 신현선 | 양정 갑선 | 양정 을선 |
노면전차 | ||||
---|---|---|---|---|
W 월산트램 | 輕 양정경철 | H 화명트램 | S 성안트램 | |
아이콘 보기 | ||||
청라특별시 · 남해도 · 청산도 · 해강도 · 염안도 |
화명 도시철도 1호선 | |
노선정보 | |
분류 | 도시철도 |
기점 | 심양도화역 |
종점 | 수계역 |
역 수 | 6 |
개업일 | 2021년 1월 12일 |
사용차량 | 청산교통공사 H1000호대 전동차 |
차량기지 | 화명차량사업소 |
노선제원 | |
노선연장 | 2.96km |
궤간 | 표준궤 (모루사이 3칸) |
사용전류 |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
지하구간 | 채풀대(중앙)역-화명종합운동장 |
통행방향 | 우측 |
개통 연혁 | 2021.01.12. 채풀대(중앙) ↔ 화명종합운동장 |
개통 예정 | 2단계 구간 |
화명시 재개발로 인해 현재 화명 도시철도 1호선의 운영이 중단되었으며 심양 도시철도 1호선과 함께 재시공 중입니다.
개요
2021년 1월 12일에 최초 개통한 화명시를 남북으로 종단하며 타 도시와 연결시켜주는 화명시의 첫번째 도시철도 노선이자 청산교통공사 운영 최초의 광역전철 노선이다.[1]
노선색은 주황색이며 전구간 청산교통공사가 관리 및 소유, 영업운전을 한다.
우측통행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DC 1500V의 전류를 사용하며 표준궤를 사용하는 철도노선이다.
화명시에서 자체적인 교통망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화명시지하철건설본부를 설치, 도시철도 건설계획을 수립하게 되었다.
이후 청산교통공사의 출범과 함께 지하철건설본부는 청교공 산하의 화명교통공사가 되었으며 미르건설을 시공사로 선정, 공사를 시작하게 되었다.
1공구는 채풀대(중앙)역부터 화명종합운동장역까지이며 2공구는 심양도화역 - 채풀대(중앙)역간 구간, 화명종합운동장역 - 도화역간 구간이다.
2단계 개통구간인 2공구 화명종합운동장-도화 구간은 1단계 완공 후 착공 예정이다.
또한 심양도시철도와의 상호연계합의를 통해 북천-남성간은 심양도시철도와 화명도시철도가 함께 병주하는 구조로 건설되었다. [2]
배차간격은 NH 7분, RH 4분이며, 주말은 8~10분간격으로 운행한다.
연혁
계획
- 화명시 승인 이후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인구와 건축붐에 맞춰 새로운 대중교통을 계획하고 있었다. 주로 버스를 통해 대중교통을 충당하려고 했으나 화명시의 인구증가수가 너무 많아 버스로 해결하기엔 무리라고 판단하였으며 당시에는 청산도 동남부권 버스통합 역시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였기에 도시철도를 만들어서 버스 혼잡을 해소하려고 계획하게 되었다.
- 1호선은 동서로 긴 화명시의 특성 때문에 시내 자체의 연결을 위한 노선보다는 타 도시 연계와 교통혼잡 해소를 위한 노선으로 심양시부터 화명시청, 화명종합운동장과 여명시까지 연결하는 노선으로 알짜배기 지역을 지나가는 노선이다.
환경
혼잡구간
노선
화명시는 동서로 긴 도시여서 2호선에 비해 화명시 교통자체에는 중추적인 노선은 아니나 타 도시와의 연계, 화명대로 연선의 간선 노선으로 제 역할은 톡톡히 하는 노선이다.
연장안
논의 중인 연장안
미리내 연장안
화명 1호선은 심양 1호선이 병주하다 채풀대역에서 분리되어 심양시 도화동에 심양도화역에서 총착하나 심양 시내를 지나 미리내시 경계 인근까지 연장을 고려하고 있다. 미리내시 경계까지 연장한 다음은 미리내 도시철도와 환승연계를 추진 중에 있다. 다만 신설된 소재지 관할 70% 규정에 충족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
여명 연장안
화명시의 화명종합운동장역 이후 화명시 내에서 역을 신설하기에 애매한 위치로 이에 따라 호수변을 돌아서 여명시와의 연계 목적으로 연장을 고려하고 있으나 여명시의 입장을 고려해야하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연장의 가능성은 아직 불투명하다.
역 목록
화명시 행정구역 개편 및 지명 개명으로 역명 변경 예정입니다.
- 광포 => 광포: 존치
- 채풀대(중앙) => 성광(채풀대): 비산대입구역 삭제로 형평성에 맞게 부역명으로 삽입 및 지명 변경으로 교체
- 화명시청 => 화명시청: 존치
- 남성 => 중앙: 중앙동 소재로 중앙으로 개칭
- 화명종합운동장 => 화명종합운동장: 존치
- 도화 => 도화: 남학동 대표성 부족으로 존치
역번 | 거리 | 역명 | 승강장 | 환승 | 소재지 | ||
---|---|---|---|---|---|---|---|
구조 | 횡단유무 | ||||||
H101 | 0.0 | 심양도화역 | Simyangdohwa | |■| | ○ | - | 심양시 |
H102 | 0.0 | 광포역 | Gwangpo | ■||■ | × | - | 화명시 |
H103 | 0.0km | 채풀대(중앙)역 | Chaepul Univ.(Jungang) | |■| | ○ | 심양 1호선 | |
H104 | 0.74km | 화명시청역 | Hwamyeong City Hall | |■| | ○ | 심양 1호선 | |
H105 | 1.1km | 남성역 | Namseong | |■| | ○ | - | |
H106 | 1.8km | 화명종합운동장역 | Hwamyeong Sports Complex | ■||■ | × | ||
H107 | 0.0 | 도화역 | Dohwa | |■| | ○ | - | |
청산교통공사 제공 |
전동차
※ 자세한 내용은 청산교통공사 H1000호대 전동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