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번째 줄: | 16번째 줄: | ||
서버 내 철도 사업의 경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나뉘며, 공공부문은 철도 계획·건설과 운영을, 민간부문은 필요시 철도 건설 참여와 차량정비외주, 티켓 판매 대행업과 상품 개발을 주로 하게 된다. | 서버 내 철도 사업의 경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나뉘며, 공공부문은 철도 계획·건설과 운영을, 민간부문은 필요시 철도 건설 참여와 차량정비외주, 티켓 판매 대행업과 상품 개발을 주로 하게 된다. | ||
철도교통의 경우 타 대중교통수단과 다르게 복수의 도시 또는 도시내 연속된 부지를 경유하기 때문에 과거부터 철도부문 완전 공영화는 불가피했던 것으로 예견되어왔다. 또한 철도 부문은 이해관계가 가장 첨예하게 대립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과거 사례와 타 서버 사례를 참고하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철도 계획과 건설에 있어 관리 및 운영 측면의 개입 여지를 대폭 경감시키고, 철도부문 효율화를 위해 2020년 8월부터 도 교통공사 설립으로 수직적 관리체계를 형성해나가고 있다. | |||
==== 고속철도 ==== | ==== 고속철도 ==== |
2020년 11월 24일 (화) 15:18 판
도로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대중교통
버스
![]() | |||
---|---|---|---|
0권역 | 동림시 | 화명시 | |
1권역 | 오천시 | 미리내시 | 심양시 |
2권역 | 들안시 | 서면군 | |
3권역 | 은산시 | 두도군 | 평천군 |
4권역 | 감천시 | 여명시 | 양정시 |
5권역 | 신현시 | ||
6권역 | 월산시 | ||
7권역 | 성안시 |
철도
틀:블록둘러보기/철도노선 플레이시티 블록의 철도교통수단은 100% 공영제로 운영되고 있어, 철도 소유와 운영 모두 공공기관 또는 공기업에서 담당하고 있다. 2021년 내로 각 도내 모든 도시철도망을 도 교통공사로 이관하고 도 교통공사 범위 밖에있는 광역철도를 폐지, 도시철도로 기능을 대체할 계획이다. 이를 위한 정지작업으로 2020년 12월부터 등록되는 도시의 철도교통은 자동으로 도 교통공사로 이관되며, 나머지 도시에 한해서도 순차적으로 이관 작업을 시행할 계획이다.
서버 내 철도 사업의 경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으로 나뉘며, 공공부문은 철도 계획·건설과 운영을, 민간부문은 필요시 철도 건설 참여와 차량정비외주, 티켓 판매 대행업과 상품 개발을 주로 하게 된다.
철도교통의 경우 타 대중교통수단과 다르게 복수의 도시 또는 도시내 연속된 부지를 경유하기 때문에 과거부터 철도부문 완전 공영화는 불가피했던 것으로 예견되어왔다. 또한 철도 부문은 이해관계가 가장 첨예하게 대립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과거 사례와 타 서버 사례를 참고하고 부작용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철도 계획과 건설에 있어 관리 및 운영 측면의 개입 여지를 대폭 경감시키고, 철도부문 효율화를 위해 2020년 8월부터 도 교통공사 설립으로 수직적 관리체계를 형성해나가고 있다.
고속철도
광역철도
도시철도
![]() 청산권 전철 노선 | ||||
---|---|---|---|---|
광역철도 | ||||
청악선 | 신청산선 | 블록공항철도 |
도시철도 | ||||
---|---|---|---|---|
화명선 | 동림선 | 미리내선 | 성안 1호선 | 성안 2호선 |
두도선 | 두도순환선 | 신현선 | 양정 갑선 | 양정 을선 |
노면전차 | ||||
---|---|---|---|---|
W 월산트램 | 輕 양정경철 | H 화명트램 | S 성안트램 | |
아이콘 보기 | ||||
![]() ![]() ![]() ![]() ![]() ![]() ![]() ![]() ![]() ![]() ![]() ![]() ![]() ![]() ![]() ![]() | ||||
청라특별시 · 남해도 · 청산도 · 해강도 · 염안도 |
![]() 해강권 전철 노선 | ||||
---|---|---|---|---|
광역철도 | ||||
해강선 | 해강중부선 | 블록공항철도 |
도시철도 | ||
---|---|---|
대강선 | 강북선 | 도심선 |
도시전차 | ||
---|---|---|
G 경천트램 | H 함학트램 | T 퇴계령트램 |
계획 · 추진 중인 노선 | ||||
---|---|---|---|---|
광천선 | 성산선 | 안자란선 | 하구순환선 | 저수지선 |
동부선 | 온주순환선 | 동서선 | 온양로선 | 용연선 |
아이콘 보기 | ||||
![]() ![]() ![]() ![]() ![]() ![]() ![]() ![]() ![]() ![]() ![]() ![]() ![]() ![]() ![]() ![]() ![]() | ||||
청라특별시 · 남해도 · 청산도 · 해강도 · 염안도 |
해운
블록의 해운 산업은 화물 위주이다. 주요 화물항으로는 망원항, 온주항, 아리울항이 있다.
항만 | 항만코드 | 위치 | 개항일 | 비고 |
---|---|---|---|---|
망원항 | MAN | 해강도 망원시 | ||
아리울항 | ARI | 남해도 아리울시 | ||
온주항 | ONJ | 해강도 온주시 |
항공
항공은 블록에서 가장 발달하지 못한 분야이다. 맵의 규모가 제주도 정도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도시간을 이동하는 항공교통은 성립하기 어렵다. 그렇지만 권역별 공항과 소규모 비행장 건설 등 블록 내 항공 산업 육성을 위한 노력은 계속 되고 있다.
- 수도 청라특별시의 관문공항으로, 2019년 2월부터 계획되었다. 반도 지형의 특성 상 동서로 놓인 활주로가 청라와 남해도 지자체 사이의 교통로를 막을 우려가 있어서 건설이 중단되었다.
- 해강북도 함학시에 건설될 공항이다. 실제 공항의 규격에 맞게 설계되었으며, 과거에 논의되었던 청산권 공항인 오천공항을 대체하여 블록 북동부 항공 수요를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 남해도에 건설될 예정인 공항이다.
- 청산도 들안시에 위치한 비행장이다. 블록 최초의 비행장이다.
공항 | PATO | B-Site | 위치 | 개항일 | 비고 |
---|---|---|---|---|---|
청라공항 | CNA | B-01 | 청라특별시 | 미정 | 블록 최초의 활주로 |
알뜨란비행장 | ALT | B-03 | 청산도 들안시 | 2020년 8월 16일 | |
함학국제공항 | HAM | B-05 | 해강도 함학시 | 2020년 9월 27일 | |
신내비행장 | SIN | B-06 | 남해도 신내시 | 미정 | 계획중 |
남해국제공항 | NAM | B-07 | 남해도 | 미정 | 계획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