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청산권 전철의 범위는 청산도 내에서 운영하는 모든 도시철도 노선을 대상으로 하며, [[두도도시교통공사]]<ref>[[두도군]]은 [[청산도]]의 다른 지자체에서 멀리 떨어진 도서지역으로 [[청산교통공사]]가 아닌 [[두도도시교통공사]]가 독자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두 회사는 서로 협력 관계를 유지중이다.</ref>, [[청산교통공사]]와 [[광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노선이 포함된다. 궤도교통수단의 경우 법적으로 도시철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제외된다. | 청산권 전철의 범위는 청산도 내에서 운영하는 모든 도시철도 노선을 대상으로 하며, [[두도도시교통공사]]<ref>[[두도군]]은 [[청산도]]의 다른 지자체에서 멀리 떨어진 도서지역으로 [[청산교통공사]]가 아닌 [[두도도시교통공사]]가 독자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두 회사는 서로 협력 관계를 유지중이다.</ref>, [[청산교통공사]]와 [[광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노선이 포함된다. 궤도교통수단의 경우 법적으로 도시철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제외된다. | ||
청산도는 지리적으로 중앙의 청산산맥에 의해서 나뉘어 있으며 규모가 방대하여 생활권이 서북부, 서남부, 동남부, 동북부 등으로 나뉘어 있다. 따라서 각 권역별 중심 도시 위주로 교통망 연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주고 있다. | 청산도는 지리적으로 중앙의 청산산맥에 의해서 나뉘어 있으며 규모가 방대하여 생활권이 서북부, 서남부, 동남부, 동북부 등으로 나뉘어 있다. 따라서 각 권역별 중심 도시 위주로 교통망 연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주고 있다. 2022년 현재는 [[화명시]]가 동남부 종주도시로, [[들안시]]와 [[오천시]]가 서북부 종주도시로 떠오르면서 도시철도를 넘어 타 시를 연결하는 청산권 광역전철망 구축을 공동으로 추진하는 등 여러가지 긍정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 ||
현재 존재하는 화명 도시철도와 은산 도시철도 등과 계획 중인 | 현재 존재하는 화명 도시철도와 은산 도시철도 등과 계획 중인 오천 도시철도, 동림 도시철도 등이 합쳐진다면 [[플레이시티 블록]]에서 청산권을 아우르는 대규모의 전철 체계가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 ||
== 역사 == | == 역사 == | ||
167번째 줄: | 167번째 줄: | ||
!style="background:#FFFFFF;color:black;" colspan="1" rowspan="5"|[[청산교통공사]] | !style="background:#FFFFFF;color:black;" colspan="1" rowspan="5"|[[청산교통공사]] | ||
!style="background:#FFFFFF;color:black;" colspan="1"|2024년 2분기 | !style="background:#FFFFFF;color:black;" colspan="1"|2024년 2분기 | ||
|- | |- | ||
!style="background:#FFFFFF;color:black;" colspan="1"|미정 | !style="background:#FFFFFF;color:black;" colspan="1"|미정 | ||
271번째 줄: | 262번째 줄: | ||
|} | |} | ||
청산권 전철은 각 노선 간 환승은 가능하나 직결되는 환승통로로만 환승하는 것이 아닌 교통카드와 정기권으로도 환승 처리되는 소프트 환승 방식이다. 그래서 [[화명 도시철도 1호선]]에서 개찰구를 나가 [[화명 도시철도 2호선]] 개찰구로 들어가도 환승이 인정된다 | 청산권 전철은 각 노선 간 환승은 가능하나 직결되는 환승통로로만 환승하는 것이 아닌 교통카드와 정기권으로도 환승 처리되는 소프트 환승 방식이다. 그래서 [[화명 도시철도 1호선]]에서 개찰구를 나가 [[화명 도시철도 2호선]] 개찰구로 들어가도 환승이 인정된다. | ||
<br>현재는 도시철도 요금만 명시되어있으나 시내버스 요금연계를 통해 두 교통수단을 환승할 때, 운임차액만 지불하면 가능하다. | <br>현재는 도시철도 요금만 명시되어있으나 시내버스 요금연계를 통해 두 교통수단을 환승할 때, 운임차액만 지불하면 가능하다. | ||
280번째 줄: | 271번째 줄: | ||
청산권 전철 같은 경우, 일찍이 매표 무인화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표를 구입하거나 교통카드를 충전하려면 반드시 기계를 이용하여야만 한다. 화명 도시철도를 건설할 때부터 이미 매표창구를 위한 공간 없이 건설되었다. 발권기에 터치스크린 방식을 채택하였고, 발권기는 개찰구당 서너 개 정도 위치해있다. 앞에 서 있으면 거리감지 센서에 의해 "출발역과 도착역을 선택하십시오" 라는 음성이 자동 출력된다. | 청산권 전철 같은 경우, 일찍이 매표 무인화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표를 구입하거나 교통카드를 충전하려면 반드시 기계를 이용하여야만 한다. 화명 도시철도를 건설할 때부터 이미 매표창구를 위한 공간 없이 건설되었다. 발권기에 터치스크린 방식을 채택하였고, 발권기는 개찰구당 서너 개 정도 위치해있다. 앞에 서 있으면 거리감지 센서에 의해 "출발역과 도착역을 선택하십시오" 라는 음성이 자동 출력된다. | ||
== 안내방송 == | == 안내방송 == | ||
290번째 줄: | 278번째 줄: | ||
=== 자전거 === | === 자전거 === | ||
주말/공휴일에 한하여 모든 노선에서 자전거 휴대 승차가 가능하다. | |||
단, 자전거를 둘 공간이 있는 맨 앞 칸이나 뒷 칸에만 탑승이 가능하다. 그러나 접이식 자전거의 휴대승차는 전 노선에서 평일 주말 할 것 없이 가능하다. 그리고 자전거 승차시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절대로 잊지 말자. 힘이 된다면 일부 계단 옆구석에 있는 자전거 경사로를 이용해도 좋다. | 단, 자전거를 둘 공간이 있는 맨 앞 칸이나 뒷 칸에만 탑승이 가능하다. 그러나 접이식 자전거의 휴대승차는 전 노선에서 평일 주말 할 것 없이 가능하다. 그리고 자전거 승차시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절대로 잊지 말자. 힘이 된다면 일부 계단 옆구석에 있는 자전거 경사로를 이용해도 좋다. | ||
343번째 줄: | 330번째 줄: | ||
==== 들안시 ==== | ==== 들안시 ==== | ||
==== 서면군 ==== | ==== 서면군 ==== | ||
==== 심양시 ==== | ==== 심양시 ==== | ||
==== 오천시 ==== | ==== 오천시 ==== |
2022년 9월 12일 (월) 11:27 판
개요
청산권 전철은 블록의 청산도에서 운행하는 연락 운송이 가능한 전철 체계이다. 각 지자체별 도시철도망과 블록공항철도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운행중인 노선으로는 화명 도시철도, 은산 도시철도가 있으며, 차후 서북권 지자체의 도시철도망이 계획 중에 있다.
상세
청산권 전철의 범위는 청산도 내에서 운영하는 모든 도시철도 노선을 대상으로 하며, 두도도시교통공사[1], 청산교통공사와 광역철도공사에서 운영하는 노선이 포함된다. 궤도교통수단의 경우 법적으로 도시철도에 포함되지 않으므로 제외된다.
청산도는 지리적으로 중앙의 청산산맥에 의해서 나뉘어 있으며 규모가 방대하여 생활권이 서북부, 서남부, 동남부, 동북부 등으로 나뉘어 있다. 따라서 각 권역별 중심 도시 위주로 교통망 연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주고 있다. 2022년 현재는 화명시가 동남부 종주도시로, 들안시와 오천시가 서북부 종주도시로 떠오르면서 도시철도를 넘어 타 시를 연결하는 청산권 광역전철망 구축을 공동으로 추진하는 등 여러가지 긍정적인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현재 존재하는 화명 도시철도와 은산 도시철도 등과 계획 중인 오천 도시철도, 동림 도시철도 등이 합쳐진다면 플레이시티 블록에서 청산권을 아우르는 대규모의 전철 체계가 구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역사
- 2019년 7월 6일 : 두도 도시교통 1호선 개통.
- 2020년 9월 7일 : 청산교통공사 출범.
- 2020년 12월 1일 : 화명 도시철도 요금제 신설, 동남부 전철 요금 통합.
- 2021년 1월 12일 : 화명 도시철도 1호선 개통 [2]
청산권 전철 노선 목록
![]() 청산권 전철 노선 | ||||
---|---|---|---|---|
광역철도 | ||||
청악선 | 신청산선 | 블록공항철도 |
도시철도 | ||||
---|---|---|---|---|
화명선 | 동림선 | 미리내선 | 성안 1호선 | 성안 2호선 |
두도선 | 두도순환선 | 신현선 | 양정 갑선 | 양정 을선 |
노면전차 | ||||
---|---|---|---|---|
W 월산트램 | 輕 양정경철 | H 화명트램 | S 성안트램 | |
아이콘 보기 | ||||
![]() ![]() ![]() ![]() ![]() ![]() ![]() ![]() ![]() ![]() ![]() ![]() ![]() ![]() ![]() ![]() | ||||
청라특별시 · 남해도 · 청산도 · 해강도 · 염안도 |
운행 노선
운행중인 청산권 전철 노선 | |||||||
---|---|---|---|---|---|---|---|
총 노선 개수: 4개 운행계통 | |||||||
총 노선 길이: nkm | |||||||
총 역 개수: 21+a개 [3] | |||||||
노선색 | 운행계통 | 총 길이 | 세부 노선명 | 기점 | 종점 | 소유자 | 운영자 |
진한 빨간색 | 은산 도시철도 1호선 | n km | 은산 도시철도 1호선 | 경계앞 | 소목산 | 은산시 | 청산교통공사 |
녹색 | 은산 도시철도 2호선 | n km | 은산 도시철도 2호선 | 5가 | 소문 | 은산시 | |
주황색 | 화명 도시철도 1호선 | 2.96km | 화명 도시철도 1호선 | 성광 | 남학 | 화명시 | |
청색 | 두도 도시교통 1호선 | n km | 두도 도시교통 1호선 | 청산도청 | 두도 | 두도군 | 두도도시교통공사 |
진한 청색 | 블록공항철도 | 9.7km | 블록공항철도 | 해강공항 국제선터미널 |
서면군청역 | 플레이시티 블록 | 광역철도공사 |
건설중 노선
건설중인 청산권 전철 노선 | ||||||||
---|---|---|---|---|---|---|---|---|
노선색 | 운행계통 | 총 길이 | 세부 노선명 | 기점 | 종점 | 소유자 | 운영자 | 개통예정 |
주황색 | 화명 도시철도 1호선 | n km | 화명 도시철도 1호선 | 심양도화 | 성광 | 화명시, 심양시 | 청산교통공사 | 2023년 12월 |
연두색 | 화명 도시철도 2호선 | n km | 화명 도시철도 2호선 | 별빛산단 | 화명중앙 | 화명시 | 2023년 9월 | |
n km | 화명중앙 | 금남 | 2024년 1월 | |||||
올리브색 | 동림 도시철도 2호선 | n km | 동림 도시철도 2호선 | 만안구청(비산대입구) | 상원나루 | 동림시 | 2023년 12월 | |
밝은 연두색 | 두도순환선 | n km | 두도순환선 | 두도항 | 두도항 | 두도군 | 두도도시교통공사 | 2021년 3분기 |
계획 노선
계획 중인 청산권 전철 노선 | ||||||||
---|---|---|---|---|---|---|---|---|
노선색 | 운행계통 | 총 길이 | 세부 노선명 | 기점 | 종점 | 소유자 | 운영자 | 개통예정 |
파란색 | 동림 도시철도 1호선 | n km | 동림 도시철도 1호선 | 북일 | 심양도화 | 동림시,심양시 | 청산교통공사 | 2024년 2분기 |
미정 | 오천 도시철도 1호선 | n km | 오천 도시철도 1호선 | 오천시 | 202n년 | |||
미정 | 오천 도시철도 2호선 | n km | 오천 도시철도 2호선 | 매교 | 오천시, 동림시 | 202n년 | ||
연두색 | 화명 도시철도 2호선 | n km | 화명 도시철도 2호선 | 별빛산단 | 매교 | 화명시, 동림시 | 2024년 1분기 | |
운임
일반승차권 | ||||||||
---|---|---|---|---|---|---|---|---|
권종 | 성인 | 청소년 | 어린이/다자녀 | |||||
거리비례 | 현금 | 교통카드 | 현금 | 교통카드 | 현금 | 교통카드 | ||
기본 10km | 1500원 | 1400원 | 1200원 | 1100원 | 1000원 | 900원 | ||
10km 이상 | 5km당 100원 추가 | |||||||
특별승차권 | ||||||||
정기권 | 1일 무제한 승차권 | 6000원 | - | |||||
7일 무제한 승차권 | 22000원 | - | ||||||
30일 무제한 승차권 | 61000원 | - | ||||||
30일 통근승차권 | 58000원 | 출퇴근용, 일주일 최대 15회 사용가능 | ||||||
30일 통학승차권 | 55000원 | 대학(원)생까지 사용가능 (재학 증명 필요) | ||||||
무임수송대상 | 75세 이상, 장애인, 국가유공자 | |||||||
재개표 | 최초 승차역과 동일역 하차후 5분 이내 (교통카드/정기권만 해당) | |||||||
환승 | 하차시간부터 30분 이내, 4회 가능 (교통카드/정기권만 해당) | |||||||
청산권 전철은 각 노선 간 환승은 가능하나 직결되는 환승통로로만 환승하는 것이 아닌 교통카드와 정기권으로도 환승 처리되는 소프트 환승 방식이다. 그래서 화명 도시철도 1호선에서 개찰구를 나가 화명 도시철도 2호선 개찰구로 들어가도 환승이 인정된다.
현재는 도시철도 요금만 명시되어있으나 시내버스 요금연계를 통해 두 교통수단을 환승할 때, 운임차액만 지불하면 가능하다.
[4]
다만 두도도시교통공사에서 운영하는 두도 도시철도는 청산도의 타 도시와 물리적으로 연계가 불가능해 독자적인 요금제를 사용하고 있다.
무인화
청산권 전철 같은 경우, 일찍이 매표 무인화를 시행하고 있기 때문에 표를 구입하거나 교통카드를 충전하려면 반드시 기계를 이용하여야만 한다. 화명 도시철도를 건설할 때부터 이미 매표창구를 위한 공간 없이 건설되었다. 발권기에 터치스크린 방식을 채택하였고, 발권기는 개찰구당 서너 개 정도 위치해있다. 앞에 서 있으면 거리감지 센서에 의해 "출발역과 도착역을 선택하십시오" 라는 음성이 자동 출력된다.
안내방송
혼잡구간
기타
자전거
주말/공휴일에 한하여 모든 노선에서 자전거 휴대 승차가 가능하다.
단, 자전거를 둘 공간이 있는 맨 앞 칸이나 뒷 칸에만 탑승이 가능하다. 그러나 접이식 자전거의 휴대승차는 전 노선에서 평일 주말 할 것 없이 가능하다. 그리고 자전거 승차시에는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것을 절대로 잊지 말자. 힘이 된다면 일부 계단 옆구석에 있는 자전거 경사로를 이용해도 좋다.
개찰구 형태
환승역
동림시
- 연성역, 송탄역
- 연성역, 동림역
두도군
들안시
서면군
심양시
오천시
은산시
화명시
- 화명시청역
- 화명시청역, 화명역
차량번호/승차위치
타 지역 도시철도와 다르게 청산교통공사의 경우 차량 내부에서 101편성 1호차이면 "1편성 1호차" 이런 식으로 표기한다. 그리고 승차위치 번호도 일맥상통하여 열차 진행방향과 관계없이 그대로 적용된다. 예시로 1호선에서 북천역 방면은 맨 앞이 1호차인 반면 수계역 방면은 맨 뒤가 1호차다. 그리고 북천역 방향은 맨 앞이 1-1, 수계역 방향은 맨 뒤가 1-1이 된다. 이는 승객들이 좀 더 직관적으로 차량의 위치를 알 수 있고, 편성의 호차번호와 승차위치 번호를 일치시키고, 노선도에서의 최단환승거리 안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그런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단점이 있다면 타 지역 사람들은 상/하행선 관계없이 맨 앞을 1-1로 인식하여 환승할 때 곤란할 수 있다는 점.
이러한 구조는 열차 내 노선도에서도 똑같아서 열차 진행방향과 노선도의 방향이 일치한다. 따라서 열차 내에서 노선도만 보고서도 어느 방향으로 가는지를 알 수 있다.
역번호
청산권 전철 역번호는 차량기지가 있는 역 → 차량기지가 없는 역 방면으로 차츰 올라간다. 북천역은 인근에 화명차량기지가 있어 101번으로 잡았으며, 2호선의 경우 화명에코산단역 인근에 역시 차량기지가 있어 201번이 부여되었다.
1호선 종점역 중 북천역 인근에 차량기지가 있어서 101번부터 시작, 2호선 종점역 중 화명에코산단역이 차량기지 인근 지하역이라서 201번부터 시작한다.
또한, 역번호가 작은 수 → 큰 수 진행은 하행이며, 열차 진행 방향은 1호차가 앞으로 가는 순방향이다. 반면, 큰 수 → 작은 수 진행은 1호차가 맨 뒤로 가는 역방향이며, 상행이다. 그래서 북쪽에 있는 북천역 방면은 상행이고, 남쪽에 있는 수계역 방면이 하행이다.
역 출구 번호
역 출구번호가 주로 한쪽 방향으로 돌아가면서 쭉 붙는 형태가 타 지역에서 일반적이지만, 청산도의 경우 특이하게 상행 기준으로 길 왼쪽은 홀수, 길 오른쪽은 짝수를 붙이는 방식으로 간다.
차량사업소
동림시
- 아현차량사업소
- 동림동부차량사업소
두도군
두도 도시교통은 별도의 차량사업소가 존재하지 않으며, 1호선은 청산도청역과 두도역 미사용 승강장에, 2호선은 청산도청역에 주박한다. 중정비시에만 엔지니어가 파견되어 정비를 진행한다.
들안시
서면군
심양시
오천시
은산시
- 소목산차량사업소, 청도차량사업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