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키(마인크래프트)

Tdb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7월 23일 (수) 00:00 판 (새 문서: '''청키'''(Chunky)는 마인크래프트 월드를 사실적으로 렌더링하는 외부 프로그램이다. 경로 추적(Path Tracing, 패스트레이싱) 기술을 사용하여 게임 내에서는 불가능한 고품질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청키는 Jesper Öqvist가 개발한 오픈소스 렌더링 도구로, 마인크래프트 월드를 고품질로 시각화할 수 있다. 처음에는 2D 매핑 도구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강력한 3D...)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청키(Chunky)는 마인크래프트 월드를 사실적으로 렌더링하는 외부 프로그램이다. 경로 추적(Path Tracing, 패스트레이싱) 기술을 사용하여 게임 내에서는 불가능한 고품질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청키는 Jesper Öqvist가 개발한 오픈소스 렌더링 도구로, 마인크래프트 월드를 고품질로 시각화할 수 있다. 처음에는 2D 매핑 도구로 시작했지만, 현재는 강력한 3D 렌더링 프로그램으로 발전했다.

특징

렌더링 방식

  • 경로 추적(Path Tracing): 빛의 물리적 특성을 시뮬레이션
  • 실시간 미리보기: 렌더링 진행 상황 확인
  • 고품질 조명: 자연스러운 그림자와 반사
  • 아이소메트릭 뷰: 다양한 카메라 각도 지원

시스템 요구사항

  • Java 17 이상 (최신 버전은 Java 21 권장)
  • 최소 4GB RAM (8GB 이상 권장)
  • 멀티코어 CPU 권장
  • Windows, macOS, Linux 지원

설치 방법

1. chunky-dev.github.io에서 Chunky Launcher 다운로드
2. Java 17 이상 설치 확인
3. Chunky Launcher 실행
4. 최신 버전 선택 후 Launch 클릭

기본 사용법

월드 불러오기

1. Chunky 실행 후 "Change World" 클릭
2. 렌더링할 월드 선택
3. "Load selected world" 클릭
4. 월드가 맵 뷰어에 표시될 때까지 대기

청크 선택

# 렌더링할 영역 선택
1. 좌클릭 또는 Shift+드래그로 청크 선택 (빨간색 표시)
2. 우클릭 → "New scene from selection"
3. 선택한 청크가 3D 뷰에 로드됨

카메라 설정

컨트롤 동작
W/A/S/D 카메라 이동
좌클릭+드래그 카메라 회전
스크롤 줌 인/아웃
Shift 빠른 이동
R 카메라 리셋

렌더링 설정

Scene 탭

# 기본 설정
- Canvas size: 렌더 해상도 (기본 400x400)
  - 테스트: 400x400
  - 최종 렌더: 1920x1080 이상
- Camera: 카메라 모드 선택
  - Standard: 일반 투시
  - Isometric: 아이소메트릭 뷰
  - Panoramic: 파노라마
- Y clip: 렌더링할 Y 좌표 범위

Lighting 탭

# 조명 설정
- Sky light: 하늘 밝기 (0-10)
- Emitter intensity: 발광 블록 밝기
- Sun intensity: 태양 밝기
- Sun azimuth: 태양 방향 (0-360도)
- Sun altitude: 태양 높이 (0-90도)

# 주의사항
Enable emitters 활성화 시 렌더 시간 크게 증가

카메라 위치 설정

# 마인크래프트 좌표 → Chunky 변환
Chunky X = Minecraft X
Chunky Y = Minecraft Y + 1.62
Chunky Z = Minecraft Z
Chunky Yaw = 90 - Minecraft Yaw
Chunky Pitch = Minecraft Pitch - 90

고급 설정

Sky & Fog 탭

# 하늘 모드
- Simulated: 시뮬레이션된 하늘
- Solid Color: 단색
- Gradient: 그라데이션
- Skymap: HDRI 이미지 사용

# 안개 설정
- Fog density: 안개 농도
- Fog color: 안개 색상

Water 탭

# 물 설정
- Still water: 잔잔한 물
- Water opacity: 물 투명도
- Water visibility: 수중 가시거리
- Use custom water color: 커스텀 물 색상

Entities 탭

# 엔티티 관리
- 플레이어, 몹, 아이템 표시/숨김
- 개별 엔티티 위치 조정
- 플레이어 스킨 렌더링

렌더링 프로세스

SPP (Samples Per Pixel)

# 품질 설정
- 테스트 렌더: 50-100 SPP
- 기본 품질: 500-1000 SPP
- 고품질: 2000-5000 SPP
- 초고품질: 10000+ SPP

# 렌더 시간 예상
SPP가 높을수록 노이즈 감소, 렌더 시간 증가

렌더링 시작

1. 모든 설정 완료 후 "Start" 클릭
2. 실시간으로 렌더링 진행 확인
3. "Pause"로 일시정지 가능
4. "Save" → "Save current frame"으로 저장

성능 최적화 팁

렌더 시간 단축

1. 필요한 청크만 선택
2. Y 클립 범위 최소화
3. Emitters 비활성화 (조명 블록이 적을 때)
4. 낮은 해상도로 테스트 후 최종 렌더
5. CPU 스레드 설정 최적화

메모리 관리

# Chunky 메모리 할당 증가
1. Chunky Launcher에서 Settings
2. Memory limit 조정 (최소 2GB)
3. 대규모 씬: 4-8GB 권장

고급 기능

애니메이션 렌더링

Chunky Animate 플러그인 사용:

1. 키프레임 설정
2. 카메라 경로 지정
3. 프레임별 렌더링
4. 이미지 시퀀스를 동영상으로 변환

커스텀 리소스팩

1. Options → Resource packs
2. 리소스팩 추가
3. 텍스처 리로드
4. 새로운 텍스처로 렌더링

일반적인 렌더 설정 예시

주간 렌더

- Sun altitude: 45-60도
- Sun intensity: 1.0-1.5
- Sky light: 1.0
- 밝고 선명한 이미지

황혼 렌더

- Sun altitude: 10-20도
- Sun intensity: 1.5-2.0
- Sky light: 0.5
- 따뜻한 색감의 드라마틱한 조명

야간 렌더

- Sun altitude: -20도 (달빛)
- Sun intensity: 0.1-0.3
- Sky light: 0.1
- Enable emitters 필수
- 높은 SPP 필요 (노이즈 감소)

문제 해결

  • 텍스처 누락: 리소스팩 확인, 버전 호환성 체크
  • 메모리 부족: 청크 수 줄이기, 메모리 할당 증가
  • 렌더링 속도 느림: CPU 사용률 확인, 불필요한 기능 비활성화
  • 노이즈 많음: SPP 증가, Denoiser 플러그인 사용
  • 검은 화면: 카메라 위치 확인, 청크 리로드

플러그인

주요 플러그인

  • Chunky Animate: 애니메이션 제작
  • Denoiser: AI 기반 노이즈 제거
  • ChunkyClPlugin: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
  • Bloom: 블룸 효과 추가

커뮤니티 자료

  • 공식 문서: chunky-dev.github.io/docs
  • 레딧: r/chunky
  • 디스코드 서버 활용
  • 렌더 갤러리에서 영감 얻기[1]
  1. 다양한 렌더 예시와 설정값을 공유하는 커뮤니티가 활발히 운영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