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2025년 9월 29일 (월)
- 17:252025년 9월 29일 (월) 17:25 차이 역사 +266 두레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17:202025년 9월 29일 (월) 17:20 차이 역사 +62 두레 →두레:큰집
- 17:202025년 9월 29일 (월) 17:20 차이 역사 +2 두레 →두레:큰집
- 17:182025년 9월 29일 (월) 17:18 차이 역사 +405 두레 →두레:큰집
2025년 9월 28일 (일)
- 01:402025년 9월 28일 (일) 01:40 차이 역사 0 두레 편집 요약 없음
- 01:402025년 9월 28일 (일) 01:40 차이 역사 +29 두레 편집 요약 없음
- 01:392025년 9월 28일 (일) 01:39 차이 역사 +80 두레 편집 요약 없음
- 01:132025년 9월 28일 (일) 01:13 차이 역사 +22 두레 편집 요약 없음
- 01:132025년 9월 28일 (일) 01:13 차이 역사 +1,231 새글 두레 새 문서: '''두레'''는 지산시의 공공 한옥 스테이 프로그램이다. 2020년 4월 5일 시작되었다. == 목적 == 두레는 전통문화도시 지산의 자산인 한옥을 널리 알리고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일반 가옥부터 한옥을 활용한 호텔까지 하나의 브랜드로 널리 알려 경쟁력을 확보하고, 공공과 지역사회의 협업을 통해서 한옥을 보존하고 지속적인 관리 지원을 하고자 한다. ==...
2025년 9월 14일 (일)
- 17:542025년 9월 14일 (일) 17:54 차이 역사 +14 지산시/건축물 목록 →황오동 최신
- 17:542025년 9월 14일 (일) 17:54 차이 역사 +61 지산시/건축물 목록 →황오동
- 17:532025년 9월 14일 (일) 17:53 차이 역사 +1,023 지산시/건축물 목록 편집 요약 없음
- 03:032025년 9월 14일 (일) 03:03 차이 역사 +58 지산철도문화관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2:572025년 9월 14일 (일) 02:57 차이 역사 +845 지산철도문화관 편집 요약 없음
- 02:002025년 9월 14일 (일) 02:00 차이 역사 +81 사용자:Jingseum →근대 건축 최신
- 01:442025년 9월 14일 (일) 01:44 차이 역사 +1,089 새글 지산철도문화관 새 문서: {{블록정보/건축물 |틀색상=43372e |건축물 이름=지산철도문화관 |건축물 영문 이름=Jisan Railway Cultural Center |대표이미지= |주소=남해도 지산시 황오동 |좌표=(-3427, 12250) |상태= |착공일=2025년 9월 13일 |완공일= |개장일= |파괴일= |철거일= |용도=박물관 |높이= |층수= |세대수= |동수= |연면적= |대지면적= |건축면적= |용적률= |건폐율= |설계사= |건설사= |엔지니어= |개발...
2025년 8월 16일 (토)
- 22:342025년 8월 16일 (토) 22:34 차이 역사 +130 남강 →남강공원 최신
- 22:332025년 8월 16일 (토) 22:33 차이 역사 +5 남강 →남강공원
- 22:322025년 8월 16일 (토) 22:32 차이 역사 +108 남강 →남강공원
- 22:312025년 8월 16일 (토) 22:31 차이 역사 +425 남강 →남강공원
2025년 7월 31일 (목)
- 16:102025년 7월 31일 (목) 16:10 차이 역사 +84 플레이시티 블록/문화유산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16:082025년 7월 31일 (목) 16:08 차이 역사 +6 플레이시티 블록/문화유산 →문화유산
- 16:072025년 7월 31일 (목) 16:07 차이 역사 +526 플레이시티 블록/문화유산 편집 요약 없음
2025년 7월 20일 (일)
- 04:092025년 7월 20일 (일) 04:09 차이 역사 +207 지산 남고루 →참고 자료 최신
- 03:372025년 7월 20일 (일) 03:37 차이 역사 +1,907 새글 지산 남고루 새 문서: {{블록정보/문화재 | 문화재명칭 = 지산 남고루 | 문화재명칭외국어 = 芝山 南古壘 | 유형 = 비지정문화재 | 번호 = 0 | 대표사진 = | 분류 = 유적 / 성곽 | 수량면적 = | 지정연도 = | 시대 = 고려 | 주소 = 남해도 지산시 성동동, 황오동, 인왕동, 황남동 | 소유 = 지산시 | 관리 = 지산시 | 지도종류 = 남해도 | 위치꼬리표 = 남고루 | 위치X좌표 = 0 | 위치Z좌표 = 0 }} ''...
2025년 7월 9일 (수)
- 09:442025년 7월 9일 (수) 09:44 차이 역사 −1 지산 성동동 전랑지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9:442025년 7월 9일 (수) 09:44 차이 역사 +47 지산 성동동 전랑지 편집 요약 없음
- 09:432025년 7월 9일 (수) 09:43 차이 역사 +41 황오동(지산시)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09:432025년 7월 9일 (수) 09:43 차이 역사 −31 황오동(지산시) 편집 요약 없음
- 09:432025년 7월 9일 (수) 09:43 차이 역사 +3,045 새글 황오동(지산시) 새 문서: {{블록목록/지산시의 행정구역}} {{블록정보/구읍면동 |휘장=지산시.svg |대표색상=#C7B276 |글자색=#ffffff |대표이미지= |행정구역단위=동 |행정구역명칭=황오동 |행정구역명칭영문=Hwango-dong |행정구역명칭한문=皇吾洞 |광역단체=남해도 |상위행정구역=지산시 |하위행정구역= |인구=0명 |면적= |인구밀도= |관청주소=XX로 X (성동동) }} <YouTube>WrPb64HfKPQ</youtube> '''황오동''...
- 09:102025년 7월 9일 (수) 09:10 차이 역사 +59 틀:블록목록/지산시의 행정구역 편집 요약 없음 최신
2025년 7월 6일 (일)
- 04:212025년 7월 6일 (일) 04:21 차이 역사 +261 지산 성동동 전랑지 편집 요약 없음
2025년 6월 29일 (일)
- 23:172025년 6월 29일 (일) 23:17 차이 역사 +1 지산 성동동 전랑지 편집 요약 없음
- 23:162025년 6월 29일 (일) 23:16 차이 역사 +486 지산 성동동 전랑지 편집 요약 없음
- 21:262025년 6월 29일 (일) 21:26 차이 역사 +21 지산 성동동 전랑지 편집 요약 없음
- 21:262025년 6월 29일 (일) 21:26 차이 역사 +72 지산 성동동 전랑지 →구조
- 21:252025년 6월 29일 (일) 21:25 차이 역사 +466 지산 성동동 전랑지 편집 요약 없음
- 21:182025년 6월 29일 (일) 21:18 차이 역사 +430 새글 지산 성동동 전랑지 새 문서: '''지산 성동동 전랑지'''는 남해 지산시 성동동에 위치한 유적지이다. 줄여서 자주 일컫는 '''전랑지'''라는 명칭은 신라시대 당대의 이름이 아니라 전당(전각)과 장랑(행랑) 유구가 발굴되었다는 의미로 붙여진 명칭이다. == 역사 == * 2025.07. 전랑지 보존정비사업 실시 (예정) == 구조 == 분류:지산시의 문화유산
- 19:312025년 6월 29일 (일) 19:31 차이 역사 +13 가람 편집 요약 없음 최신
- 19:312025년 6월 29일 (일) 19:31 차이 역사 +25 가람 편집 요약 없음
- 19:312025년 6월 29일 (일) 19:31 차이 역사 +111 가람 →당우(전각) 명칭
- 19:282025년 6월 29일 (일) 19:28 차이 역사 +3,735 새글 가람 새 문서: '''가람'''(伽藍)은 불교 용어로 승려가 거주하며 불도를 닦는 장소, 즉 절 또는 사찰(寺刹)을 일컫는다. 산스크리트어의 상가람마(संघाराम, Saṃghārāma)를 음차한 승가람마(僧伽藍摩)에서 유래하였다. 한국에서는 사찰 자체를 일컫을 때보다 사찰의 건물 배치를 언급할 때 가람이라는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 가람은 불교가 기원한 인도에서 기원전 2세기 경...
- 19:272025년 6월 29일 (일) 19:27 차이 역사 −2,918 사용자:Jingseum →사찰 건축
- 04:192025년 6월 29일 (일) 04:19 차이 역사 +1,033 유구 →이전보존 최신
- 04:092025년 6월 29일 (일) 04:09 차이 역사 −28 유구 →플레이시티 블록에서의 유구
- 04:082025년 6월 29일 (일) 04:08 차이 역사 +592 유구 →참고문헌
- 04:042025년 6월 29일 (일) 04:04 차이 역사 +859 유구 →유구의 보존 방법
- 03:582025년 6월 29일 (일) 03:58 차이 역사 +984 유구 편집 요약 없음
- 03:502025년 6월 29일 (일) 03:50 차이 역사 +20 유구 편집 요약 없음
- 03:502025년 6월 29일 (일) 03:50 차이 역사 +800 새글 유구 새 문서: '''유구'''(遺構)는 대지에 남은 토목건축의 흔적으로, 그 구조와 양식을 파악하는 데 실마리가 되는 것이다. 유구는 땅에 남아있기 때문에 파괴하지 않고 연구실 등으로 옮겨 분석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과거 인간의 활동을 추측할 수 있는 중요한 고고학적 자료로서 건축양식 뿐만이 아니라 의례생활, 사회조직, 경제행위 등을 파악하는 단초가 된다. == 유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