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Edit 문서 원본 보기 ← MCEdit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MCEdit'''는 [[마인크래프트]] 월드를 외부에서 편집할 수 있는 오픈소스 맵 에디터이다. codewarrior0가 2010년에 처음 개발한 이 프로그램은 마인크래프트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외부 도구 중 하나로, 대규모 건축 프로젝트와 맵 제작에 혁명을 일으켰다. 게임 내에서는 불가능하거나 매우 어려운 작업들을 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MCEdit의 가장 큰 장점은 마인크래프트를 실행하지 않고도 월드를 편집할 수 있다는 점이다. 3D 뷰어를 통해 월드를 자유롭게 탐색하면서, 수백만 개의 블록을 한 번에 수정하거나 복사할 수 있다. 이는 게임 내 창작 모드의 한계를 완전히 뛰어넘는 것으로, 특히 반복적인 패턴이나 대규모 지형 수정 작업에서 압도적인 효율성을 보여준다. == 역사와 버전 == === MCEdit 1.0 (Classic) === 초기 MCEdit는 Python과 Pygame으로 개발되었으며, 기본적인 선택, 복사, 붙여넣기 기능을 제공했다.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도구였지만, 인터페이스가 단순하고 기능이 제한적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맵 제작자들이 이 도구를 사용하여 복잡한 구조물을 만들기 시작했다. 마인크래프트 1.8 버전까지 지원했던 이 클래식 버전은 안정성이 뛰어났고, 많은 사용자들이 익숙해져 있었다. 특히 필터 시스템을 통한 확장성이 뛰어나, 커뮤니티에서 만든 수많은 커스텀 필터들이 공유되었다. === MCEdit 2.0 (Unified) === 2014년부터 개발이 시작된 MCEdit 2.0은 완전히 새로운 코드베이스로 재작성되었다. Qt 프레임워크를 사용하여 더 현대적인 인터페이스를 구현했고, 마인크래프트 1.8 이상의 새로운 블록 시스템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었다. 플러그인 아키텍처를 채택하여 확장성을 크게 개선했으며, 더 나은 성능과 안정성을 목표로 했다. 하지만 MCEdit 2.0은 베타 상태에서 개발이 중단되었다. 마인크래프트의 급격한 변화와 개발자의 시간 부족으로 인해 프로젝트는 2018년경 사실상 중단되었고, 이후 커뮤니티 포크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 Amulet Editor === MCEdit의 정신적 후계자로 여겨지는 Amulet Editor는 MCEdit 팀의 일부 개발자들이 참여하여 만든 새로운 프로젝트다. Python으로 작성되었으며, 현대적인 아키텍처와 더 나은 크로스 플랫폼 지원을 제공한다. Bedrock Edition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며, 현재도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 주요 기능 == === 선택 도구 === MCEdit의 핵심은 강력한 선택 도구다. 직육면체 선택은 물론, 불규칙한 모양의 선택도 가능하다. 청크 단위 선택을 통해 월드의 특정 부분을 정확히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 영역을 저장하고 불러올 수도 있다. 이러한 선택 도구는 모든 편집 작업의 기초가 된다. === 복사와 붙여넣기 === 선택한 영역을 복사하여 다른 위치에 붙여넣는 것은 MCEdit의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강력한 기능이다. 회전과 뒤집기를 지원하여 구조물을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공중에 붙여넣기도 가능하다. 스케매틱(Schematic) 파일로 저장하여 다른 월드나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도 있다. === 채우기와 교체 === 대량의 블록을 한 번에 변경하는 작업은 MCEdit의 진가가 드러나는 부분이다. 특정 블록을 다른 블록으로 교체하거나, 빈 공간을 특정 블록으로 채우거나, 패턴을 적용하여 복잡한 디자인을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게임 내에서는 수 시간이 걸릴 일을 몇 초 만에 완료할 수 있게 한다. === 브러시 도구 === 지형을 조각하듯 편집할 수 있는 브러시 도구는 자연스러운 지형을 만드는 데 필수적이다. 산을 깎거나 올리고, 부드럽게 다듬으며, 침식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브러시 크기와 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섬세한 작업부터 대규모 지형 변경까지 모두 가능하다. == 필터 시스템 == MCEdit의 가장 혁신적인 기능 중 하나는 필터 시스템이다. Python으로 작성된 필터들은 선택 영역에 복잡한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기본 제공되는 필터들도 유용하지만, 진정한 힘은 커뮤니티가 만든 수많은 커스텀 필터에서 나온다. === 대표적인 필터들 === '''Forester''' 필터는 현실적인 나무를 생성하는 필터로,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나무를 무작위로 배치할 수 있다. 숲을 만들 때 필수적인 도구로, 자연스러운 식생을 빠르게 생성할 수 있다. '''CreateShops''' 필터는 주민 상점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필터다. 거래 내용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으며, 커맨드 블록 없이도 복잡한 상점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Chunk Deleter''' 필터는 특정 조건의 청크를 삭제하는 필터로, 맵 크기를 줄이거나 특정 지역을 초기화할 때 유용하다. == 스케매틱 파일 == MCEdit가 대중화시킨 스케매틱(.schematic) 파일 형식은 마인크래프트 구조물을 저장하고 공유하는 표준이 되었다. NBT 형식을 기반으로 하며, 블록 데이터뿐만 아니라 엔티티와 타일 엔티티 정보도 포함할 수 있다. 스케매틱 파일의 등장으로 건축물 공유가 혁명적으로 쉬워졌다. Planet Minecraft, Minecraft Schematics 같은 사이트에서 수만 개의 스케매틱이 공유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다른 사람의 창작물을 자신의 월드에 쉽게 추가할 수 있게 되었다. == 사용 예시 == === 대규모 건축 프로젝트 === 도시나 성 같은 대규모 건축물을 만들 때 MCEdit는 필수적이다. 기본 구조를 빠르게 생성하고, 반복되는 패턴을 복사하여 배치하며, 전체적인 레이아웃을 조정하는 작업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많은 유명 건축 팀들이 MCEdit를 기본 도구로 사용한다. === 어드벤처 맵 제작 === 커스텀 던전, 퍼즐, 파쿠르 코스 등을 만들 때 MCEdit의 정밀한 블록 배치 기능이 빛을 발한다. 커맨드 블록을 대량으로 설정하거나, 숨겨진 메커니즘을 구현하는 작업도 쉽게 할 수 있다. === 월드 수정과 복구 === 손상된 청크를 제거하거나, 잘못 생성된 지형을 수정하는 등의 월드 관리 작업에도 유용하다. 특히 서버 관리자들은 그리퍼에 의해 파괴된 지역을 복구하거나, 스폰 지역을 재설계할 때 MCEdit를 자주 사용한다. == 한계와 주의사항 == MCEdit는 강력하지만 몇 가지 한계가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마인크래프트 버전 업데이트에 대한 대응이다. 새로운 블록이나 변경된 월드 형식을 지원하려면 프로그램 업데이트가 필요한데, 개발이 중단된 상태에서는 이것이 어렵다. 또한 잘못 사용하면 월드를 손상시킬 수 있다. 특히 엔티티나 타일 엔티티를 다룰 때는 주의가 필요하며, 항상 백업을 먼저 하는 것이 권장된다. 대규모 작업 시에는 메모리 사용량도 상당하므로, 충분한 시스템 자원이 필요하다. == 대안 == MCEdit의 개발 중단 이후 여러 대안이 등장했다. '''Amulet Editor'''는 가장 유력한 후계자로, 현대적인 마인크래프트 버전을 지원한다. '''[[WorldEdit]]''' 모드는 게임 내에서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며, '''[[Axiom]]''' 같은 새로운 클라이언트 모드도 등장했다. [[분류:마인크래프트]] MCEdit 문서로 돌아갑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