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정역 | |||||
고속철도 노선 | |||||
| |||||
다국어 표기 | |||||
영어 | Yangjeong / Yiang Chiong | ||||
한자 | 良正 | ||||
중국어 | |||||
일본어 | |||||
두도-양정방언 | 낭청 | ||||
주소 | |||||
청산도 | |||||
운영기관 | |||||
청악선 | ![]() |
양정역(가칭)은 청악선(가칭)의 종착역으로 추진되는 철도역이다. 1950년대 철도망 건설 계획 무산 이후로 오랫동안 철도 음영지역이었던 양정시에 최초로 들어서는 대형역이다.
역 예정지 주변은 양정시 동단의 허허벌판으로, 시 당국은 이 지역을 남양정휴양단지로 개발할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현 가칭은 양정역이나, 지역사회는 역 이름을 남양정역으로 결정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양정이라는 지명이 95년 통합 후 다시 쓰기 시작한 지역명인 것이 주 원인이다.
역 정보
당초 계획과 달리 화신 시가지에서 멀지 않은 곳에 건설되었다. 양정 관문역으로서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과 더불어 청산도와 남해도 철도망의 연계를 위해 세심하게 설계한 결과이다.
양정역 건설을 위해 수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는데, 청산고속선의 종점 처리 여부와 고속선을 분리하여 지하에 별도 역사를 건설할 것인지 여부, 그리고 청산도 철도망에서의 역할 설정 등 다년 간의 연구 끝에 지금과 같은 구조로 설계되었다. 청산고속선은 사실상 양정 시종착 계통 고속철도 노선 개념으로 설정되었는데, 별도 계통이지만 동서 고속선(가칭)이 양정역에서 스위치백을 통해 사실상 직결 운행할 예정이기 때문에 이를 설계에 반영하여야 하고, 더불어 각각 청산선과 청산내륙선으로 연계되는 두 갈래의 일반선이 양정역에 진입한 뒤 상호 연계되어야 해서 설계 과정 까지 많은 진통을 겪었다. 더군다나 고속선과 일반선 간 연결선로 까지 설치해야해 청산도 소재 철도역 중에서도 배선이 가장 복잡한 편이다. 남북축 기준 24도로 기울어진 역사의 방향도 이 같은 점을 고려한 결정이다.
청산도 남쪽 끝자락에 위치하였고, 시종착역 특성상 청산도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은 역 중 한 곳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수요가 높은 역인데다 두단식 승강장 구조라서 지상 승강장 수가 18개로 매우 많다.
승강장
↑양원 | ||||||||||||||||||||||||||||||||||||||||||||||
1 | ㅣ | ㅣ | 2 | 3 | ㅣ | ㅣ | 4 | 5 | ㅣ | ㅣ | 6 | 7 | ㅣ | ㅣ | 8 | 9 | ㅣ | ㅣ | 10 | 11 | ㅣ | ㅣ | 12 | 13 | ㅣ | ㅣ | 14 | 15 | ㅣ | ㅣ | 16 | 17 | ㅣ | ㅣ | 18 | 19 | ㅣ | ㅣ | 20 | 21 | ㅣ | ㅣ | 22 | 23 | ㅣ | |
시·종착역 |
- 청산고속선
↑ | |||||||||
ㅣ | 1 | 2 | ㅣ | ㅣ | ㅣ | ㅣ | 3 | 4 | ㅣ |
↓ |
각종 노선의 시종착역 역할을 하는 두단식 승강장이 있는 역사로서 플랫폼 수가 상당히 많다. 이는 두단식 승강장 철도역의 특징이기도 하다. 청산고속철도 양정역은 지하에 위치해있다.